목차
발간사

서설 종이(紙)의 보급에 대한 시론 / 籾山明 = 7

1부 고대 동아시아 서사매체의 변화
제1장 한~당시기 동아시아 제도의 교류와 간독 문화 전파 / 王素 = 37
제2장 西晉 黃籍의 書寫材料 再論 / 張榮强 = 63
제3장 簡에서 종이(紙)까지: 漢晉 戶籍制度의 변혁 / 韓樹峰 = 81
제4장 漢晉시기의 종이와 서사 / 張德芳 = 119
제5장 洛陽紙貴와 桂陽郡 木簡: 三國兩晉시기의 지목병용 / 戴衛紅 = 137
제6장 대나무에서 종이로-서사재료와 기후변화 / 池田昌廣 =171
제7장 일본 고대 寫經所의 종이 문서와 목간 / 栄原永遠男 = 191
제8장 簡牘 시대 『史記』 寫本의 원류와 傳承 과정 / 금재원 = 221

2부 목간의 제작과 폐기
제9장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제작 유형과 제작 단위 / 김도영 = 257
제10장 中國 簡牘時代의 문자 소거와 폐기 / 馬增榮 = 309
제11장 부여 관북리 유적 연못 출토 목간과 목제품의 폐기양상 / 이상일 = 367
제12장 일본 고대 목간의 폐기와 재사용 / 渡辺晃宏 = 103

編·著者 소개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