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텍스트의 내막

1장 복수 텍스트 = 15
1. 복수 텍스트의 논점
2. 복수 텍스트 읽기
3. 읽기 교육에 시사점
4. 복수 텍스트 활용 과제

2장 가상 세계 텍스트 = 43
1. 가상 세계 텍스트의 개념
2. 가상 세계와 텍스트
3. 가상 세계 텍스트 읽기
4. 가상 세계 텍스트 읽기 과제

3장 인터텍스트 = 70
1. 인터텍스트의 개념
2. 기호와 인터텍스트
3. 인터텍스트와 읽기
4. 인터텍스트 활용 과제

4장 창발 텍스트 = 108
1. 창발 텍스트의 성격
2. 멱함수와 창발적 읽기
3. 읽기 교육에 시사점
4. 창발적 읽기 실천

제2부 읽기의 연모

1장 복잡계 네트워크 = 137
1. 복잡계 네트워크의 세계
2. 복잡계 네트워크와 읽기
3. 읽기의 복잡계 네트워크
4. 복잡계 네크워크 읽기 과제

2장 의미 네트워크 = 168
1. 의미 네트워크의 논점
2. 독자의 의미 네트워크
3. 의미 네트워크의 구성
4. 의미 네트워크 활용

3장 정보의 자기조직화 = 197
1. 정보의 자기조직화 개념
2. 정보의 자기조직화 작용
3. 정보의 자기조직화 특성
4. 정보의 자기조직화 활용

4장 장면적 이해 = 225
1. 장면적 이해의 개념
2. 장면적 이해의 구조
3. 장면적 이해의 본질
4. 장면적 이해의 과제

5장 해석 공동체 = 259
1. 해석 공동체의 서설
2. 해석 공동체의 개념
3. 해석 공동체의 체계
4. 해석 공동체의 구성
5. 해석 공동체의 지향
6. 해석 공동체의 과제

제3부 독자의 보법

1장 늘림 읽기 = 295
1. 늘림의 근원
2. 늘림과 읽기
3. 늘림 읽기 방법
4. 늘림 읽기 세계

2장 간접전달 읽기 = 321
1. 간접전달 읽기의 기초
2. 간접전달 읽기의 구조
3. 간접전달 읽기의 특성
4. 간접전달 읽기의 지향

3장 성찰적 읽기 = 350
1. 성찰적 읽기의 토대
2. 성찰적 읽기의 체계
3. 성찰적 읽기의 교육
4. 성찰적 읽기의 과제

4장 참된 독자 = 388
1. 참된 독자 본질
2. 참된 독자 요인
3. 참된 독자 되기
4. 참된 독자 실천

[부록]
2022 국어과 읽기 교육과정(초1-고1) = 415
각 장을 구성하는 논문 = 442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