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학 더하기_ 단서들 = 9

제1부 문학 더하기 알파

°플러스사회 = 19
―사회 개념의 문학적 재구성 = 19
―문학사회학의 틈 = 25
―문학과 사회의 구성적 함수 = 28
―아케이드 배회자에서 디지털 노마드로 = 33
―리얼리티의 아이러니 = 37
―문화라는 문학의 토대 = 41
―독자라는 문학사회학적 상수 = 44

°플러스문화 = 51
―문화 요소들의 문학적 해석 = 51
―문화 개념의 문학적 지층 = 62
―문학 더하기 문화의 상수와 변수 = 68
―문학이 문화를 소환하는 방식 = 74
―문화적 과정의 문학적 회로 = 83

°플러스역사 = 89
―역사의 방식과 문학의 방식 = 90
―역사와 문학이 이루는 각 = 105
―역사의 문제 문학의 해법 = 112

°플러스공간 = 123
―공간의 인문적 개념 계열 = 124
―문학과 공간의 개념적 함수들 = 130
―장소:공간::실체:구성체 = 141
―스토리:디스코스::사실:가상실재 = 145
―아날로그:디지털::인과:사상 = 155

°플러스구조 = 163
―구조적 개념화의 방법적 전략 = 164
―구조・탈구조의 개념적 지층 = 172
―문학 플러스 구조, 계보 = 178
―문학 플러스 구조, 정향과 지평 = 186

제2부 문학 더하기 베타

°플러스언어 = 197
―언어의 구성적 자질 = 199
―문학의 언어에 관한 난항 = 202
―문학의 언어, 그 아름다움 = 209
―문학의 언어와 일상적 언어의 함수 = 128
―언어적 낯설게하기의 문학 공정 = 224

°플러스미디어 = 229
―미디어를 둘러싼 말말말 = 229
―디지털 네트워크 조건 문학의 대응 = 237
―문학 플러스 미디어 전략 = 247
―디지털 미디어의 문학 전술 = 253

°플러스디지털 = 263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서사적 자질 = 266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위상 변환 = 270
―디지털 공간과 서사 공간의 함수 = 278

°플러스인지 = 293
―인지와 문학 구성적 함수 = 294
―문학적 소통의 인지적 자질 = 304
―문학적 혼성 공간 = 313
―문학적 소통과 문화적 인지 = 320

°플러스감성 = 331
―감성의 구성적 단서 = 331
―감성의 문학적 표층과 문화적 도식 = 333
―문학적 교감의 문화적 행동역학 도식 = 338
―문화적 감성의 문학적 위상 도식 = 350

°플러스창의 = 361
―창의 공정의 해석학적 순환 = 362
―창의적 인지와 은유 회로 = 369
―인지적 불확정 공간의 서사적 시멘트 = 376

°플러스가상실재 = 385
―이야기 제시 차원의 역학 = 386
―가상실재 공간의 서사적 모의 = 391
―사실|허구의 탈경계 이행 = 400
―사실의 사실적 재현과 확신 회로 = 404
―허구의 개연적 구성과 가장 회로 = 414
―가상・실재의 위상 전이와 모의 회로 = 422

°문학 더하기 문학_ 지평 = 433

참고문헌 = 451
찾아보기 = 461
에필로그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