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문화유산을 보면 어떤 것이 보이나요? = 5

1부. 금속

이 조그마한 금 알갱이는 몇 K인가요? = 17
- 신라의 금 귀걸이 : 제작 기법, 성분 분석
청동의 두 얼굴 = 31
- 청동 거울 : 금속의 부식 및 산지 추정
조선에도 시한폭탄이 = 43
– 비격진천뢰 : 제작 원리
전설과 과학이 만나 울리다 = 53
- 성덕대왕신종 : 성분 분석
한국사는 업데이트 중 = 61
- 가야의 문화 : 철기 제작과 풍속

2부. 토기, 도자기, 유리

로마의 유리가 경주 무덤에서 발견된 이유 = 73
- 황남대총 봉수형 유리병 : 보존 처리
장식품이 아니라 주전자라고요? = 85
- 기마 인물형 토기 : 컴퓨터 단층 촬영
무덤으로 사용된 토기 = 95
- 나주 옹관 : 옹관 제작 과정과 유통 관계
중국을 넘어선 청자의 도약 = 109
- 상감 청자 : 흙과 불과 유약의 삼박자
숨 쉬는 토기 = 119
- 옹기 : 제작 방식에 담긴 과학적 원리

3부. 목재

썩지 않은 나무의 비밀 = 127
- 광주 신창동 출토 목기 : 수침목재 보존 처리
백제의 수학 시간 = 137
- 부여 쌍북리 출토 구구단 목간 : 목재의 수습과 적외선 분석
핫 아이템과 함께 묻히다 = 147
- 무령왕릉 목관 : 수종 식별
전복껍데기가 명품이 되기까지 = 159
– 나전칠기 : 제작 방법과 보존 관리
나무에 새긴 간절한 기도 = 173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대장경, 직지 : 건조목재의 보존 관리

4부. 지류, 직물, 회화, 벽화, 보존환경

천마도는 진짜 말인가요? = 183
- 천마도 : 적외선 조사와 보존 처리
종이를 발명한 중국으로 수출한 종이 = 197
– 가장 자연적인 한지 : 제지 원리
황제만 사용할 수 있던 색 = 207
- 곤룡포에 담긴 권력 : 안료 분석
시간을 거슬러 다시 태어나다 = 217
- 부석사 조사당 벽화 : 재보존 처리
박물관이 어두운 이유 = 227
- 회화 유물 교체 전시 : 소장품의 전시 환경 관리

5부. 석조

돌멩이가 쏘아 올린 공 = 235
- 주먹도끼와 흑요석 : 제작 원리와 성분 분석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탑의 돌은 어디서 왔나요? = 243
- 미륵사지 석탑 : 채석 산지 분석
치욕의 역사, 지워버리고 싶었나? = 255
- 삼전도비 : 보존 처리
지진도 버틴 첨성대 = 263
- 첨성대 : 훼손 진단과 보존 관리
한국의 보물만이 아닌 세계의 보물이 되기 위해 = 271
– 반구대 암각화 : 새로운 관리 모색

6부. 미래에 남겨줄 우리의 유산

박물관에 부는 디지털 바람 = 281
– 역사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힘
문화유산을 지키는 또 다른 방법 = 286
– loT를 이용한 방재 시스템
사라진 문화유산이 되살아나는 마술 = 293
– 3D 스캔을 통한 복원과 전시
전통을 다시 꿈꾼다 = 300
– 전통 방식의 연구와 발전
기록의 DNA, 인류세 우리는 무엇을 남길 것인가? = 309
- 조선왕조실록 그리고 반도체

에필로그 과학은 역사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이다 = 317
참고 자료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