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참고문헌 = 449


제1장 문화재 발굴과 보존과학
1. 들어가며 = 12
2. 문화재의 종류 및 정의 = 13
3. 문화재 종류의 세부구분 = 14
4. 문화재 발굴과 보존처리 = 16
5. 우리나라 보존과학의 역사 = 22
6. 외국의 문화재 보존과학의 역사 = 27
7.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의 개념과 이론 = 30

제2장 금속문화재의 보존과학
1. 금속유물 보존처리의 필요성 = 36
2. 금속유물의 부식의 원인과 현상 = 36
3. 금속유물 보존과학 및 처리방법 = 46
4. 금속유물의 취급과 보존관리 = 75

제3장 목재문화재의 보존과학
1. 목재 보존처리의 필요성 = 80
2. 수침 목재 및 칠기 보존처리 = 81
3. 건조물 보존처리 = 111
4. 전세품(傳世品) 보존처리 = 129
5. 전시 및 보관방법 = 142

제4장 석조문화재의 보존과학
1. 석조문화재 보존의 중요성 = 146
2. 석조문화재 가공의 전통적 기법 = 147
3. 석조문화재의 손상 원인 = 148
4. 보존처리 방법 = 155

제5장 벽화문화재의 보존과학
1. 벽화의 역사 = 188
2. 벽화의 구조 = 195
3. 벽화의 보존처리 역사 = 196
4. 벽화의 제작과정 = 198
5. 벽화의 안료 = 200
6. 벽화의 보존처리 = 209

제6장 회화류 문화재의 보존과학
1. 회화류 문화재의 보존과학 = 222
2. 회화류의 구조적 분류 = 225
3. 회화류에 사용되는 재료 = 227
4. 회화에 쓰는 먹 = 238
5. 회화 안료 = 239
6. 아교 = 240
7. 회화의 배접 = 241
8. 회화류 문화재의 훼손 원인 = 253
9. 훼손된 회화류 문화재의 수복 방법 = 259
10. 불화 보수 및 보존처리 = 270

제7장 의류문화재의 보존과학
1. 의문화재 보존처리의 중요성 = 284
2. 섬유의 종류별 특징 = 285
3. 섬유의 장·단점 및 구조 = 288
4. 섬유의 성질 = 290
5. 직물의 조직 = 297
6. 전통직물 = 298
7. 마직물 = 301
8. 면직물 = 303
9. 견직물 = 305
10. 모직물 = 313
11. 복식 유물의 보존처리 = 314

제8장 전적문화재의 보존과학
1. 지류문화재 보존과학의 중요성 = 334
2. 전적(典籍)문화재의 보존과학 = 335

제9장 토기 및 도자기의 보존과학
1. 토기와 도자기 유물 보존처리의 필요성 = 360
2. 도자기의 분류 방법 = 361
3. 토기와 도자기의 제작 방법 = 364
4. 토기와 도자기의 손상 원인 = 366
5. 우리나라의 도자기 보존처리 역사 = 367
6. 토기·도자기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방법 = 369
7. 도자기의 보관 및 전시 = 392

제10장 발굴 유구(遺構)문화재의 보존
1. 유구의 정의 = 394
2. 유구전사 및 토층전사의 정의 = 398
3. 토층전사 방법 = 419
4. 유적 공원 조성 = 426

제11장 기타 문화재의 보존과학
1. 골각기와 인골의 보존과학 = 430
2. 천연기념물의 보존과학 = 441
3. 수목의 보존과학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