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장 충청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

제1장 홍성(洪城)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 12

1. 지명 = 29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 46
1) 바람, 비, 눈, 달의 구분법
2) 흙과 논의 구분법
3) 작물, 밥, 술, 장(醬)의 구분법
4) 소와 가축의 구분법
5) 해물의 구분법
6) 질병의 토속 명칭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 75
1) 산에 대한 민간 지각
2) 야생 나물의 종류
3) 야생 열매 및 뿌리의 종류
4) 야생 버섯의 종류
5) 기타 식용 식물
6) 약용의 야생 식물
7) 미물(微物)의 자연 세계

4. 친척용어체계 = 98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친척 관련 어휘와 표현
4) 친척어휘의 형태 분화

5. 호칭체계 = 133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과 ‘벗’
2) (과거의) 택호 사용
3) 오늘날의 비친척 호칭체계
4) 특이 호칭어

6. 존댓말의 체계 = 153
1) 말단계의 조직과 관련 민간 명칭
2) ‘표준어’의 사용과 특수한 반말 어미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7. 말의 주요 범주 및 가치관과 특수한 상황변이어 = 191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과 표현
2) 언어가치관 및 태도
3) 아기말
4) 짐승을 부르는 말
5) 의례어: 제사와 오방제
6) 인사말

8. 언어예술 = 230
1) 욕과 동물의 은유
2) 새의 종류와 울음소리
3) 노래와 우스갯소리
4) ‘옛말’과 관용적 표현
5) ‘옛날얘기’

제2장 청원(淸原)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 170

1. 지명 = 292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308
1) 바람, 비, 눈의 구분법
2) 흙, 밭, 논의 구분법
3) 작물의 구분법과 거름의 종류
4) 밥, 술, 떡, 장(醬)의 구분법
5) 소와 가축의 구분법
6) 금강의 민물고기와 여타 식용 생물
7) 질병의 토속 명칭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II = 340
1) 산에 대한 민간 지각
2) 야생 나물의 종류
3) 야생 열매 및 뿌리의 종류
4) 야생 버섯의 종류
5) 기타 식용 식물
6) 야생 나무의 구분법과 이용 방식
7) 약용의 야생 식물

4. 생업의 언어적.문화적 지식 = 391
1) ‘닥나무 한지’의 제작 과정
2) 감과 대추 농사
3) ‘뉘에치기’
4) 벌의 구분법과 ‘벌치기’

5. 친척용어체계 = 426
1) 친척용어의 목록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3) 친척 관련 어휘와 표현
4) 친척어휘의 형태 분화

6. 호칭체계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2) 의사친척호칭의 사용
3) ‘택호’ 호칭

7. 존댓말의 체계 = 455
1) 말단계의 조직과 관련 민간 명칭
2) 반말의 변이형과 특수 형태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8. 말의 주요 범주와 특수한 상황변이어 = 499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과 표현
2) 아기말
3) 짐승을 부르는 말
4) 의례어: 제사와 탑제
5) 인사말

9. 언어예술 = 533
1) 욕과 동물의 은유
2) 새의 종류와 울음소리
3) 우스갯소리
4) 속담과 관용적 표현
5) 노래와 ‘옛날얘기’

참고문헌 = 559
Abstract = 571
찾아보기 =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