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서장 : 영남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
제1장 통영시 사량도(蛇梁島)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 20
1. 지명 = 35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 = 51
1) 바람의 구분법 = 51
2) 비, 눈, 달, 흙의 구분법 = 59
3) 논, 밭, 작물, 소의 구분법 = 62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Ⅱ = 73
1) 바닷물의 구분법 = 73
2) '바다 공간'의 구분법 = 83
3) 고기의 부분 명칭 = 85
4) 어류의 구분법 = 87
5) 여타 해산물의 구분법 = 115
6) 배의 종류와 어로법 = 125
4. 친척용어체계 = 128
1) 친척용어의 목록 = 128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 141
3) 친척용어의 형태 분화와 사용 방식 = 145
4) 기타 친척 관련 어휘 및 표현 = 151
5. 호칭체계 = 154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 155
2) 의사친척호칭의 사용 = 157
3) 특이 호칭어 = 161
4) 부부 간의 호칭 및 지칭 = 162
6. 존댓말의 체계 = 166
1) 존댓말에 관한 민간 명칭 = 167
2) 말단계의 조직 = 169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 177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 181
7. 특수한 상황변이어 = 188
1) 아기말 = 189
2) 짐승을 부르는 말 = 197
3) 의례어와 의례 관련 표현 = 200
8. 말의 주요 범주와 욕 및 '우시개(소리)' = 213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 및 표현 = 213
2) 욕 = 220
3) 동물의 은유 = 228
4) '우시개(소리)' = 239
9. 언어예술 Ⅰ: 속담 및 관용적 표현 = 254
1) 바다 환경과 이 지역에 관한 '옛(날)말' = 256
2) '상소리' 표현의 '옛(날)말' = 266
3) 일반적인 '옛(날)말' = 270
10. 언어예술 Ⅱ: '옛날이바구' = 286
제2장 선산(善山)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의 과정 = 314
1. 지명 = 326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 = 340
1) 바람의 구분법 = 341
2) 비, 눈, 흙의 구분법 = 343
3) 논, 작물, 소의 구분법 = 346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Ⅱ = 354
1) 산에 대한 민간 지각 = 354
2) 야생 나물의 종류 = 357
3) 야생 열매(및 뿌리)의 종류 = 364
4) 야생 버섯의 종류 = 367
5) 기타 식용 식물 = 370
4. 친척용어체계 = 372
1) 친척용어의 목록 = 373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 387
3) 기타 친척 관련 어휘 및 표현 = 392
4) 친척용어의 형태 분화와 사용 방식 = 395
5. 호칭체계 = 404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 405
2) 택호의 작명 = 407
3) 택호의 사용 방식 = 412
4) 호칭어의 변화 = 418
6. 존댓말의 체계 = 426
1) 존댓말에 관한 민간 명칭 = 426
2) 말단계의 조직 = 429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 444
4) 존댓말의 사용 규칙 = 451
7. 말의 주요 범주와 특수한 상황변이어 = 464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 및 표현 = 464
2) 아기말 = 469
3) 짐승을 부르는 말 = 476
4) 의례어와 '관용 표현' = 479
8. 언어예술 Ⅰ = 481
1) 욕과 '사람의 비유' = 482
2) 새 울음소리 = 488
3) 속담 및 관용적 표현 = 490
9. 언어예술 Ⅱ = 504
1) 노래 = 504
2) '우시개(소리)' = 525
3) '잇날이얘기' = 536
부록 : 영해(寧海) 지역의 친척용어 목록 = 543
참고문헌 = 577
Abstract = 591
찾아보기 =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