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1 여기는 아닌, 지금은 아닌, 나는 아닌?
아끼는 마음[愛] 없이 아낄[儉] 수 있을까? = 21
: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그는 왜 나무를 심었을까? = 24
: 장 지오노, 『나무를 심은 사람』
철쭉 속의 무한 우주, 그 ‘알지 못함’의 비밀은? = 27
: 웬델 베리, 『삶은 기적이다』
생물 다양성을 어떻게 추구할까? = 30
: 제인 구달, 『희망의 자연』
가난한 문명인과 풍요로운 미개인 사이, 우리의 선택은? = 35
: 헨리 데이비드 소로, 『월든』
어떻게 다양성 속의 조화를 이룰까? = 39
: 제러미 리프킨, 『유러피언 드림』
지속 가능성 혁명은 가능한가? = 43
: 데니스 L. 메도즈 외, 『성장의 한계』
피에타상을 빚어낸 대리석 파편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 48
: 지그문트 바우만, 『쓰레기가 되는 삶들』
“여기는 아닌, 지금은 아닌, 나는 아닌”, 과연 그럴까? = 51
: 하라트 벨처, 한스-게오르크 죄프너, 다나 기제케 외, 『기후 문화』
어떻게 생기 있는 심령을 성찰할까? = 55
: 에머슨, 「미국의 학자」
나무처럼 아름다운 시가 있을까? = 58
: 조르주 페렉, 『잠자는 남자』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 61
: 『길가메쉬 서사시』
폭탄 돌리기로부터 자유로운가? = 64
: 한스 요나스, 『책임의 원칙』
나는 내 시간의 주인일까? = 67
: 레온 크라이츠먼, 『24시간 사회』
걷는 발의 뒤꿈치에서 생각이 나올까? 70
: 이브 파칼레, 『걷는 행복』
백척간두에서 진일보할 수 있을까? = 74
: 니코스 카잔자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평화에로 초대받을 수 있을까? = 77
: 틱낫한, 『틱낫한의 평화로움』

2 사막에서 우물의 노래를
플랜 Z 시대의 사막에서도 우물을 발견할 수 있을까? = 83
: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피로스의 승리는 저주였을까? = 86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프로메테우스와 독수리의 관계는? = 89
: 한병철, 『피로사회』
‘하지 않는 것’을 선택할 수 있을까? = 93
: 허먼 멜빌, 「필경사 바틀비」
그대, ‘공짜 점심’을 꿈꾸는가? = 96
: 가 알페로비츠, 루 데일리 공저, 『독식비판』
새로운 사회계약은 가능할까 = 99
: 제러미 리프킨, 『노동의 종말』
그레고르 잠자는 왜 벌레로 변신했을까? = 102
: 프란츠 카프카, 『변신』
희망을 견인할 공정한 경제 시스템은 어디에? = 106
: 아서 밀러, 『세일즈맨의 죽음』
비밀을 사랑하는 돈은 얼마나 위험한가? = 109
: 게오르그 짐멜, 『돈의 철학』
적당히 재능 있는 사람은 어떻게? = 112
: 로버트 H. 프랭크, 필립 쿡, 『승자독식사회』
최소 소비로 최대 웰빙에 이를 수 있을까? = 115
: 『법정스님의 무소유의 행복』

3 미친 상상으로 네잎 클로버를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121
: 톨스토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기 마련일까? = 125
: 괴테, 『파우스트』
풍경을 통해 나를 재발견할 수 있을까? = 128
: 괴테, 『이탈리아 기행』
겉만 보고 선택하지 않을 수 있을까? = 131
: 셰익스피어, 『베니스의 상인』
‘정다운 무관심’은 어떻게 가능할까? = 134
: 알베르 카뮈, 『이방인』
살아 있다는 것은 그 얼마나 기적인가? = 137
: 셰익스피어, 『리어왕』
지도 없는 항해는 가능할까? = 141
: 다니엘 디포, 『로빈슨 크루소』
젊은 영혼의 대장간에서 무엇을 벼릴 것인가? = 144
: 제임스 조이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
인간은 타고난 수수께끼 해결사일까? = 147
: 오르한 파묵, 『새로운 인생』
미친 상상으로 네잎 클로버를 구할 수 있을까? = 150
: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나는 내 운명의 주인인가? = 154
: 최인훈, 『화두』
편견의 우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 157
: A. G. 가드너, 「모자 철학」
호모 사피엔스, 그 얼마나 기기묘묘한가? = 160
: 박경리, 『토지』
손흥민 선수는 울보인가? = 163
: 심노숭, 『눈물이란 무엇인가』
진정한 사모곡은 가능할까? = 168
: 이청준, 『축제』
나의 스토리텔링 지수는? = 171
: 이청준, 『인문주의자 무소작씨의 종생기』
어떻게 마지막 열매들을 익게 할 것인가? = 175
: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가을날」
명사형 사고에서 동사형 사고로 전환할 수 있을까? = 178
: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바보들의 항해는 계속될까? = 181
: 제바스티안 브란트 엮음, 『바보배』
행복 창조의 비밀은 무엇일까? = 185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진화를 위한 몰입은 얼마나 즐거운가? = 188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
나잇값의 비밀은? = 191
: 로마노 과르디니, 『삶과 나이: 완성된 삶을 위하여』

4 절망의 산에서 희망의 돌멩이를
좋은 담이 좋은 이웃을 만들까? = 197
: 로버트 프로스트, 「담장 고치기」
절망의 산에서 희망의 돌멩이를 캐낼 수 있을까? = 200
: 킹,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공평한 관찰자는 실종되었을까? = 204
: 애덤 스미스, 『도덕감정론』
열린 법의 문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까? = 207
: 카프카, 「법 앞에서」
최선의 나라에서 살아볼 수 있을까? = 211
: 플라톤, 『국가』
비밀을 사랑하는 사람은 얼마나 위험한가? = 215
: 엘리아스 카네티, 『군중과 권력』
2016년 겨울, 촛불의 꿈은? = 218
: 가스통 바슐라르, 『촛불의 미학』
‘벌거벗은 생명’을 어떻게 변론할 수 있을까? = 221
: 조르조 아감벤, 『호모 사케르』
기회의 평등을 위한 정의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225
: 존 롤즈, 『정의론』
애도의 시간을 건너 살아있는 진짜 노래를 부를 수 있을까? = 228
: 자크 프레베르, 『장례식에 가는 달팽이들의 노래』
여전히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인가? = 231
: 텐도 아라타, 『애도하는 사람』
나는 피해자이기만 할까? = 235
: 이청준, 『흰옷』
문제는 희망을 배우는 일인가? = 238
: 에른스트 블로흐, 『희망의 원리』

5 무의미의 의미와 환대
고귀한 복수는 가능한가? = 245
: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환대는 없는가? = 248
: 데리다, 『환대에 대하여』
삶이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않을 수 있을까? = 252
: 푸슈킨,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뱀장어처럼 미끄러우면 쉽게 출세할 수 있을까? = 255
: 발자크, 『고리오 영감』
나의 회복력 지수는? = 258
: 캐런 레이비치, 앤드류 샤테, 『회복력의 7가지 기술』
무의미의 의미는? = 262
: 박민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실어증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 265
: 김중혁, 「엇박자 D」
행복을 기다려야만 하는 지겨움을 어쩌면 좋을까? = 269
: 김애란, 「호텔 니약따」
우리, 용서라는 말을 들을 수 있을까? = 272
: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우리’라는 말잔치를 위한 진화의 방향은? = 275
: 폴 에얼릭, 로버트 온스타인, 『공감의 진화』

6 나는 질문한다, 고로 존재한다!
나는 질문한다, 고로 존재한다! = 283
: 파블로 네루다, 『질문의 책』
대화로 세계의 향연을 열 수 있을까? = 286
: 미하일 바흐친, 『도스또예프스끼 시학의 문제들』
‘이고 메고 지고 업고’ 가는 한국인은 누구인가? = 290
: 김열규, 『한국인의 자서전』
어떻게 내 안의 아레테를 열어나갈 수 있을까? = 293
: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도서관에 없는 게 있을까? = 296
: 보르헤스, 「바벨의 도서관」
우리가 읽은 것이 우리일까? = 300
: 스티븐 로저 피셔, 『읽기의 역사』
책 속에 무엇인들 없겠는가? = 304
:『주자어류(朱子語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