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ⅶ
서장 : 경기 지역의 언어문화 연구 = 1
양평(楊平) 지역의 언어문화 = 13
연구의 과정 = 14
1. 지명 = 40
2.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Ⅰ = 53
1) 바람, 비, 눈, 달의 구분법 = 54
2) 흙, 논, 밭의 구분법 = 60
3) 작물, 밥, 술의 구분법과 토속 음식 = 63
4) 소와 가축의 구분법 = 72
3. 생태 환경의 어휘적 구분 Ⅱ 동물의 자연 세계 = 76
1) 민물고기와 여타 수생 식용 동물 = 77
2) 새의 종류와 울음소리 = 90
3) 여타 식용의 야생 동물과 미물(微物)의 자연 세계 = 103
4. 친척용어체계 = 109
1) 친척용어의 목록 = 109
2) 친척용어의 주요 특색 = 123
3) 친척 관련 어휘와 표현 = 131
4) 친척어휘의 형태 분화 = 138
5. 호칭체계 = 148
1) 지위 구분의 민속 모형 = 149
2) 의사친척호칭의 사용 = 150
3) (과거의) 택호 사용 = 154
4) 특이 호칭어 = 160
6. 존댓말의 체계 = 164
1) 존댓말에 관한 민간 명칭 = 165
2) 말단계의 조직 = 168
3) 인칭대명사와 기타 존대 표현 = 182
4) 청자존대어의 사용 규칙 = 187
5) 주체존대어의 사용 방식 = 198
6) '관용화된' 존대 표현 = 207
7. 말의 주요 범주와 특수한 상황변이어 = 213
1) 말에 대한 민간 명칭과 표현 = 213
2) 아기말 = 224
3) 짐승을 부르는 말 = 234
4) 의례어와 인사말 = 241
8. 언어예술 Ⅰ = 252
1) 욕 및 악담과 '동물의 은유' = 253
2) 속담과 관용적 표현 = 262
3) '김매기소리' = 269
9. 언어예술 Ⅱ = 276
1) 곁말 = 277
2) '우스개소리' = 297
3) 이야기 = 304
결어 : '한국의 언어 민속지' 연구의 과정과 결과 = 309
참고문헌 = 327
Abstract = 339
찾아보기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