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재난인문학 연구총서’ 9권 <재난 시대의 언어와 담론> 간행에 부쳐 = 4

제1부

재난 관련 어휘의 사용 양상과 개념화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 17
1. 머리말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코로나19 신어와 코로나 뉴노멀
4. 맺음말

코로나19의 개념화 양상 = 43
1. 서론
2. 질병에 대한 언어학적 관심
3. 코로나19에 대한 개념화 유형
4. 마무리

문화 핵심어 ‘팔자’와 운명관에 대한 민속 화용론적 연구 = 69
- 개인적 재난과 관련하여
1. 서론
2. 민속 화용론과 생애사 자료
3. 개인적 재난과 ‘팔자’의 의미 분석
4. 재난의 극복과 운명관의 문화 스크립트
5. 결론

한중 확장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 105
- 코로나19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한․중 코로나19의 확장 개념적 은유
4. 한․중 코로나19의 확장 개념적 은유 대조
5. 결론

제2부

재난 시대의 매체 언어와 담론

‘재난약자’ 담론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 151
1. 머리말
2. ‘재난약자’의 개념 및 유형
3. 빅카인즈 뉴스 텍스트에 나타난 ‘재난약자’의 계량적 분석
4. ‘재난약자’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5. 결론 및 제언

‘K-방역’에 대한 언론 사설의 담화 전략 분석
- 담론 형성의 언론사별 대조를 중심으로 = 179
1. 머리말
2. 연구 배경
3. ‘K-방역’에 대한 언론 사설의 담화 전략
4. 결론 및 제언

코로나19 관련 뉴스 보도의 언어 분석 = 213
- 헤드라인에 반영된 공포와 혐오를 중심으로
1. 서론
2. 감염병과 미디어
3. 공포의 정서를 강화하는 언어적 장치
4. 혐오적 시선을 드러내는 언어 표현
5. 결론

한․중 코로나19 관련 신문기사의 비판적 담화 분석 = 251
- 의료진 및 확진자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한․중 코로나19 신문기사의 대조 분석
4. 맺음말

제3부

재난 시대의 정치․종교 언어와 담론

코로나19 관련 정치 담화에 대한 비판적 담화 분석 = 289
- 트럼프와 쿠오모의 연설 비교를 통하여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자료 소개 및 분석 방법
4. 분석 및 논의
5. 결론

코로나19로 확대된 반중․반미․반일 정서와 담화특징 연구 = 323
- 신문사설 헤드라인을 중심으로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분석대상과 방법
4. 분석결과와 논의
5. 결론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의 대국민 담화문에 대한 비평적 담화분석 = 355
- 포스트코로나 연설문을 대상으로
1. 서론
2. 비평적 담화분석
3. 선행연구
4. 자료 분석
5. 결론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의 종교 지도자 담화문 연구 = 383
1. 서론
2. 담화문의 특징과 구조
3. 종교 담화문의 분석 결과
4. 결론

제4부

재난 시대의 리터러시와 교육 담론

기후 정의 담론에 기반한 리터러시 교육 = 413
- 기후 정의 리터러시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기후 불평등 현상과 기후 정의 담론의 전개 양상
3. ‘기후 정의 리터러시’와 리터러시 교육
4. 결론 및 제언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 443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1. 들어가며
2. 재난 리터러시의 개념과 정례브리핑의 속성
3. 정례브리핑의 구조와 언어 사용 양상 분석
4. 나가며

문화간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공익광고 이해 양상 분석 = 481
- 광주 및 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유자녀 중국 국적의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공익광고 이해 양상 분석
5. 나가며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 525
한국문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연구
1. 들어가는 말
2. 디지털 리터러시와 한국어 교육
3.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수업모형과 수업 시행 고찰
4.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