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 5
비린내, 누린내, 풋내, 군내 = 5
인류가 언제부터 그렇게 문자를 사용해 왔다고? = 10

01_다른 문자가 보여 주는 다른 세계 = 18
사라졌을지도 모를 고유 지식 = 19
《한경지략》과 〈한양가〉의 서로 다른 한양 = 26
서울, 그리고 서울을 부르는 수많은 한자어 =37

02_이두․향찰의 시대에서 한문의 시대로 = 50
1,400년이나 쓰인 이두․향찰․구결 = 51
향가와 한시, 나란히 걸리다 = 59
의천과 김부식이 못마땅해한 차자 시스템 = 65
고려, 몽골에 한문 문화를 전하다 = 78

03_한글의 시작, 예상 외의 성공 = 84
훈민정음은 갑자기 튀어나온 것인가 = 85
급속도로 늘어난 ‘배운 사람들’ = 96
사투리까지 담아낸 훈민정음 = 108
폰트와 필기구, 활자와 기술 그 너머의 이야기 = 116

04_언문이 열어 준 조선 사회의 틈새 = 127
정조의 뒤쥭박쥭, 양반 남성도 한글 썼다 = 137
여성, 불멸을 꿈꾸며 소리치다 = 137
언문, 가족의 일상과 관계를 바꾸다 = 152
변경에서 성장하는 새로운 독서 = 161

나오며 = 170
참고자료 = 176
찾아보기 =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