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1. 연구 배경 = 3
2. 연구 목적 =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1. 연구 범위 = 6
2. 연구 방법 = 6
3. 연구 체계 = 8
4. 기대효과 = 9
제2장 통합수장센터 건립의 전제 = 11
제1절 건립 배경 및 필요성 = 13
1. 정책적 차원 = 13
2. 기능적 차원 = 16
3. 사회문화적 차원 = 19
4. 국토 균형발전 차원 = 22
제2절 건립을 위한 전제조건 = 22
1. 통합수장센터 건립과 국립한글박물관 역할 확대 = 24
2. 통합수장센터 역할과 국립한글박물관 기능 전문화 = 25
제3절 유사 사례 분석 = 34
1. 국내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34
2. 국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56
제3장 통합수장센터 건립 방향 = 79
제1절 건립 기본 방향 = 81
1. 비전 및 가치 = 81
2. 운영 방향 = 83
제2절 공간 구성 방향 = 86
1. 유물의 특수성을 고려한 안전한 보관을 위한 공간 마련 = 86
2. 유율 보존 및 활용 공간의 개방적 구조화 = 87
3. 한글유산의 범주 확대에 따른 재질별 전문 관리 공간 마련 = 88
제4장 통합수장센터 운영 계획 = 89
제1절 통합수장센터 운영계획 = 91
1. 소장품 보존 기본방향 = 91
2. 소장품 수집 기본방향 = 107
3. 공간별 운영 방향 = 119
제2절 콘텐츠 운영 계획 = 130
1. 콘텐츠 운영 기본 방향 = 130
2. 콘텐츠 운영계획 = 134
제3절 조직 및 인력 운영 계획 = 174
1. 조직 현황 = 174
2. 통합수장센터 조직 및 인력구성(안) = 182
제5장 통합수장센터 건축 구상 = 197
제1절 대상지 현황 및 관련 법규 검토 = 199
1. 대상지 현황 및 여건 = 199
2. 관련법규 = 207
3. 파주 부지 관련 법규 및 개발 계획 검토 = 208
제2절 시설규모 = 219
1. 수장고 규모 추정 = 219
2. 영역별 규모 = 226
제3절 건축 계획 = 237
1. 건축개요 = 237
2. 배치계획 = 238
3. 평면계획 = 239
4.단면계획 = 246
5. 동선 및 주차계획 = 247
6. 조감도 = 247
제4절 총사업비 = 250
1. 총사업비 산정 = 250
2. 운영비 추정 = 268
3. 재투자비 = 272
4. 비용흐름 = 272
제6장 통합수장센터 건립 타당성 분석 = 275
제1절 타당성 분석 개요 = 277
제2절 수요 및 편익추정 = 279
1. 수요추정 = 279
2. 편익추정(CVM) = 283·
제3절 경제성 및 정책적 타당성 분석 = 303
1. 경제성 분석 = 303
2. 정책성 분석 = 307
3. 지역균형발전 분석 = 312
제4절 종합 분석 = 321
1. AHP 분석개요 = 321
2. AHP를 활용한 종합평가 = 321
3. AHP 분석 결과 = 325
4. AHP 활용 종합판단 = 328
참고문헌 = 331
부록1. 설문지 = 339
부록2. 국립한글박물관 자료수집 목록(안) = 365
부록3. 설계공모 지침서(안) =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