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방언과 방언학

1.1 방언이란 무엇인가 = 11
1.1.1 방언의 정의 = 13
1.1.2 ‘방언’의 개념 변천 = 29
1.2 방언학이란 무엇인가 = 49
1.2.1 방언학의 영역 = 50
1.2.2 방언 연구의 흐름 = 71

제2장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

2.1 방언 조사의 절차 = 92
2.2 방언 조사의 방법 = 99
2.2.1 조사지점 = 100
2.2.2 조사항목(질문지) = 100
2.2.3 제보자 = 116
2.2.4 조사자 = 119
2.2.5 질문 = 120
2.2.6 전사와 녹음 = 128
2.3 방언 조사의 실제 = 130
2.4 방언 자료의 정리 = 133

제3장 방언의 분포

3.1 방언구획론 = 145
3.1.1 등어선과 방언지도 = 145
3.1.2 방언지도와 방언구획 = 172
3.1.3 한국의 방언구획 = 179
3.2 개별방언론 = 186
3.2.1 개별방언론과 체계 = 186
3.2.2 개별방언론의 실제:6개 대방언권의 특징 = 188

제4장 방언의 변화

4.1 방언분화론 = 217
4.1.1 언어변화와 개신파 = 217
4.1.2 개신파와 방언분화 = 229
4.1.3 방언분화와 방언분포 = 235
4.2 방언접촉론 = 244
4.2.1 방언의 접촉과 경계 = 244
4.2.2 방언접촉의 양상 = 247
4.2.3 방언접촉과 언어변화 = 271

제5장 언어와 사회

5.1 사회언어학이란무엇인가 = 276
5.1.1 사회언어학의 영역 = 277
5.1.2 사회언어학의 조사 방법 = 280
5.2 미시 사회언어학 = 283
5.2.1 언어변이와 사회 = 283
5.2.2 언어분화와 사회언어학 = 288
5.2.3 언어 선택과 사회언어학 = 295
5.2.4 언어변이와 언어변화 = 297
5.3 거시 사회언어학 = 301
5.3.1 언어 태도와 사회 = 301
5.3.2 언어 변종의 보존과 사멸 = 304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