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1. 서론 = 9
1.1. 국어 한자음의 시대구분 = 9
1.2. 국어 한자음 자료의 시대별 성격 = 18

2. 고대국어 한자음 = 22
2.1. 고대국어 한자음의 재구 = 22
2.2. 고대국어 한자음의 기층 = 73
2.3. 고대국어 한자음과 중세국어 한자음의 체계적 차이 = 89
2.4. 불확실한 문제들 = 97
2.5. 마무리 = 102

3. 중세국어 한자음 = 104
3.1. 『동국정운』의 체계와 교정 한자음 = 105
3.2. 전승 한자음 = 111
3.2.1. 모태론 = 113
3.2.2. 성모의 대응 = 117
3.2.3. 운모의 대응 = 125
3.2.4. 성조의 대응 = 169
3.3. 고대국어 한자음에서 중세국어 한자음으로 = 172
3.3.1. 성모의 변화 = 172
3.3.2. 운모의 변화: 체계적인 차이에 주목하여 = 174

4. 근대국어 한자음 = 184
4.1. 운서 및 자전의 편찬 = 184
4.2. 근대국어 한자음의 성격과 변화의 방향 = 185
4.2.1. 새로 설정한 한자음: 기존의 음은 속음으로 처리 = 187
4.2.2. 바로잡은 한자음: 기존의 한자음은 폐기 = 193
4.2.3. 일자다음에 따라 새로 첨가된 한자음 = 196
4.2.4. 중세에 보이지 않던 속음이 나타난 것 = 207
4.2.5. 중세의 복수음에서 부분적으로 폐기된 한자음 = 208
4.2.6. 음운의 변화를 반영한 한자음 = 214
4.3. 종합 = 226

5. 현대국어 한자음 = 228
5.1. 도입 = 228
5.2. 음운론적 개관 = 230
5.3. 현대국어 한자음의 성립 과정 = 243
5.3.1. 근대국어 자전에서 새로 등장하여 현대국어로 이어진 경우 = 245
5.3.2. 현대국어 자전에서 새로 채택한 한자음 = 249
5.3.3. 중세 및 근대의 한자음이 가능한 음운 변화를 거친 경우 = 269
5.4. 종합 = 272

6. 결론 = 274

참고문헌 = 277
찾아보기 = 288

《국어사대계》 발간의 말씀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