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일제 말 조선인의 삶과 조선어 그리고 조선어학회
_일제의 조선어 정책과 조선어 학계의 대응 = 16
1. 조선인 ‘광김민수光金敏洙’의 학교생활 = 23
2. ‘마포국민학교’ 조선인 교원의 수업과 조선인의 언어생활 = 34
3. 강원도 홍천의 청년 김윤수와 조선어학회 = 47
4. 한 청년의 삶을 바꾼 조선어학회와의 만남 = 55
5.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의 위상 = 66
II. 해방 그리고 ‘국어’가 된 조선어
_해방 직후 국어 회복 운동의 방향성과 갈등 양상 = 80
1. 해방 직후의 국어 회복 활동 = 85
1-1. 조선어학회의 재건 활동
1-2. 조선어학회의 국어 강습 활동
1-3. 국어 규범 정립 활동
2. 조선어학회 중심의 국어 정책과 갈등 양상 = 107
2-1. 해방 직후 국어 정책의 방향
2-2. 한글 전용 정책
2-3. 국어 정화 운동
3. 조선어학회 활동의 역사적 위상과 공헌 = 126
4. 분단과 조선어학회의 내적 갈등 = 129
III.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새 출발
_국어 정책의 체계화와 국어학계의 재편 = 136
1. 정부 수립 이후의 국어 정책 = 142
1-1.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의미
1-2. 정부 수립 직후 국어 정책 양상
2. 대학의 설립과 국어국문학과의 개설 과정 = 162
2-1. 일제의 대학 제도와 조선어문학 전공자의 육성
2-2. 국어국문학 1세대의 활동과 신세대의 출현
2-3. 제2세대의 국어국문학 전공 이수 과정―해방 이후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상황
3. 신세대가 주도하는 국어국문학 연구회 = 202
3-1. 초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의 활동
3-2. 서울 각 대학 조선어문학연구회의 조직과 활동
IV. 한국전쟁기, 국어학의 모색
_혼란의 수습과 학풍의 혁신 = 218
1. 전쟁의 폐허 속 대학의 정비 = 223
1-1. 대학의 혼란과 국어학자의 선택
1-2. 부산 피란 시절의 대학과 국어학
2. 학풍의 혁신과 국어국문학회의 출범 = 241
2-1. 국어국문학회의 창립과 학회지 발간 과정
2-2. 국어국문학회의 연구 활동과 성과
V. 《큰사전》의 완간 그리고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전환
_근대적 과제의 완결과 새로운 문제 제기 = 264
1. 전후 국어학계의 재건과 국어 정책적 대응 활동 = 270
1-1. 환도 후 국어학계의 재건 활동
1-2. ‘한글 간소화’ 파동과 국어학계의 대응
1-3.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의견
2. 국어 규범 사전의 출판 = 296
2-1. 한글학회 편 《큰사전》의 완간과 규범 사전 시대의 개막
2-2. 《큰사전》 이후 사전의 출판과 성과
2-3. 한일 국어학자의 교류와 한일사전의 발간
3. 학교문법의 통일과 문법 파동 = 320
3-1. 학교문법 통일 문제가 부각된 계기
3-2. 학교문법 통일 논의의 전개 과정과 그 평가
4.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전환 맥락 = 327
4-1. 근대적 과제의 완결 후 국어 정책과 국어학의 전개
4-2. 국어 정책 연구 기관의 설립 모색
4-3. 남북 언어 통일을 위한 모색
4-4.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