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어 속에 담긴 한국 문화
ㆍ언어는 문화를 담는 그릇 = 15
ㆍ윷놀이판에 담긴 한국어 문화 = 18
ㆍ우리의 삶을 바꾸는 언어의 힘 = 21
ㆍ당신의 근처에 늘 있는, 준말의 매력 = 23
ㆍ‘염병’과 코로나19 = 26
ㆍ까마득한 날에, 광야로 = 29
ㆍ‘자기’의 매력 = 32
ㆍ‘말의 장’에서 꺼내 쓰기 = 35
ㆍ도토리, 다람쥐 그리고 돼지 = 38
ㆍ‘네’와 ‘예’의 다양한 표현들 = 41
ㆍ‘1+1’은 ‘2’ 이상이다 = 44
ㆍ무심코 던진 말 한마디 = 47
ㆍ욕은 지하철을 타고 = 50
ㆍ이게 불교에서 온 말이라고? = 53
ㆍ같지만 다를 수밖에 없음 = 56
ㆍ말과 글의 정반합 = 59
ㆍ취미로서의 글쓰기 = 62
ㆍ한국어, 한류 코인을 타다 = 65

제2부 새말 속에 담긴 우리 문화
ㆍ신어로 바라보는 우리의 삶 = 71
ㆍ신어, 언어의 규칙과 창조성 사이 = 74
ㆍ세대 간 언어 격차 해소를 위한 ‘신어 오지라퍼’ = 77
ㆍ격동기의 사전, 한국어 사전의 미래 = 80
ㆍ사전이 말해 주지 않는 의미 = 83
ㆍ코로나가 탄생시킨 신조어, 동학 개미 = 86
ㆍ신조어를 통해 본 코로나 한국 = 89
ㆍ코로나 신어에 나타난 ‘복지’의 의미 = 92
ㆍ‘대구 코로나’ 유감 = 95
ㆍ코로나를 대하는 언어적 자세 = 98
ㆍ아저씨를 위한 ‘개’ 사용설명서 = 101
ㆍ꿀벌의 언어와 인간예외주의 = 104
ㆍ이것은 이모티콘인가, 이모지인가? = 107
ㆍ‘좀비 학기’의 명과 암 = 110
ㆍ‘내로남불’의 언어학 = 113
ㆍ한시적 ‘내로남불’ 사용 중지 제안 = 116
ㆍ‘버억’이란 말을 아십니까? = 119
ㆍ“오케이, 부머.” = 122
ㆍ슬기로운 문자 생활 = 125

제3부 지켜 온 우리말글, 옛말과 방언
ㆍ옷소매 한글 편지 = 131
ㆍ사라져 가는 말에 대한 단상 = 134
ㆍ지금 이 순간에도 사라져 가는 언어 = 137
ㆍ겨울에 만난 푹한 날 = 140
ㆍ다시 ‘크게 모일 날’을 기다리며 = 143
ㆍ꽈배기의 말맛 = 146
ㆍ진짜 골목을 만나러 가는 길 = 149
ㆍ한국어의 보물 창고인 방언 = 152
ㆍ경북 방언의 뿌리는? = 155
ㆍ진또배기와 처용가 = 158
ㆍ쌀과 벼와 나락 이야기 = 161
ㆍ김치는 김치다 = 164
ㆍ단어도 나이를 먹는다: ‘다방’에 대하여 = 167
ㆍ사투리에 힘 싣기 = 170
ㆍAI(인공지능) 시대에 방언의 풍경 = 173
ㆍAI가 이해하는 방언의 깊이 = 176
ㆍ인공지능의 윤리 그리고 방언 = 179


제4부 다시 볼 우리말, 언어 정책과 규범
ㆍ공공언어 소통의 방정식 = 185
ㆍ우리는 어떤 사전을 원하는가? = 188
ㆍ국어책임관 = 191
ㆍ한자어와 공공언어 = 194
ㆍ수어는 독립된 언어이다 = 197
ㆍ존댓말 과잉과 갑질 사회 = 200
ㆍ성별 비대칭적 가족 호칭과 가족 문화 = 203
ㆍ‘혐오표현’에 갇힌 사회 = 206
ㆍ혐오의 언어, 차별의 언어, 맥락의 언어 = 208
ㆍ‘카톡해’ 시대 화자들의 언어 = 211
ㆍ호상(好喪)입니다 = 214
ㆍ‘숙맥’이든 ‘쑥맥’이든 = 217
ㆍ‘뭉티기’를 표준어로? = 220
ㆍ‘본인상’과 ‘사글세’의 추억 = 223
ㆍ당신의 문해력은 안녕하십니까? = 226
ㆍ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 =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