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 - 관점의 설정과 연구 방법 = 25
1. 문자에 대한 관점의 설정
2. 훈민정음 연구를 위한 관점 전환의 필요성
3. 문화중층론의 이론적 특성
4.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5. 용어의 정의
제1부 - 『훈민정음』의 서지와 내용 구조
제1장 - 『훈민정음』 해례본의 서지와 내용 구조 = 89
1. 훈민정음의 완성과 반포
2. 『훈민정음』의 형태 서지와 내용 구조
3. 『훈민정음』 해례본의 권두서명 문제와 해결 방안
4. 해례본 병서행의 줄바꿈 문제와 해결 방안
5.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 구조 분석
6. 마무리
제2장-훈민정음 언해본의 서지와 내용 구조 = 213
1. 훈민정음 언해본의 서지와 이본
2. 언해본 텍스트의 내용 구조
3. 훈민정음 언해본 텍스트의 편찬과 번역
제2부 - 『훈민정음』 텍스트의 언어와 해석
제1장-『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에 쓰인 우리말의 특성과 그 해석 = 259
1. 해례본에 나타난 자모자의 특성
2. 해례본에 예시된 우리말 표현의 특성
3. 방점 표기의 기원과 사성의 음가 기술
제2장-『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에 사용된 한자(어)의 빈도와 그 해석 = 312
1. 논구의 초점과 대상
2. 개별 한자의 사용 빈도와 그 해석
3. 한자어(구)의 사용 빈도와 그 해석
4. 마무리: 융합성 및 중층성과 빈도의 상관성
제3장-훈민정음 언해본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과 그 해석 = 352
1. 한자의 우리말 번역과 학술 용어
2. 문법범주에 대한 인식과 특이 문법형태의 쓰임
3. 언해본에 나타난 우리말 인식과 문체
제3부 -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보편적 가치
제1장-훈민정음 창제의 바탕이 된 세종시대의 학문 연구 = 391
1. 세종시대의 학문 연구가 갖는 의의
2. 『성리대전』 연구와 훈민정음에의 적용
3. 15세기 중엽의 성운학 연구와 조선어음 분석의 수준
4. 외래 문자학의 영향과 창의적 변용
5. 마무리
제2장-훈민정음 창제의 작업 단계 재구성과 제자론의 단계별 적용 = 457
1. 몇 가지 논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2. 훈민정음 창제의 작업 단계 설정
3. 훈민정음 창제의 단계별 작업 내용
4. 마무리
제3장-훈민정음 제자론의 융합성과 그 해석 = 573
1. 융합의 뜻
2. 훈민정음 문자체계의 융합성
3. 마무리: 융합 요소가 갖는 의의
제4장-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제자론 = 666
1. 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보려 하는가
2. 창제 목적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 민주성
3. 제자론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 과학성
4. 제자론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 철학성
5. 마무리
제5장-『훈민정음』 해례의 제자론制字論에 대한 비판과 해명 = 709
1. 초성자 제자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해명
2. 중성자 제자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해명
3. 마무리
제4부 - 훈민정음 창제의 사회문화적 접근
제1장-세종시대의 정책과 훈민정음 창제의 배경 = 743
1. 조선 초기 민생 정책의 배경과 세종의 정책 구상
2. 국가 제도의 정비와 학문 정책의 강화
3. 민생과 훈민을 위한 문헌 편찬
4. 마무리
제2장-훈민정음 창제 주체에 대한 새로운 접근 = 786
1. 친제설, 협찬설, 친제협찬설의 대립
2. 새로운 접근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
3. 결론은 친제설
제3장-훈민정음 창제 목적의 정립定立 = 844
1. 훈민정음 창제 목적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2. 훈민정음 창제 목적 정립
3. 마무리
제4장-언문 반대 상소문의 정보 분석과 그 해석 = 879
1. 최만리가 올린 각종 상소문의 개요
2. 상소문의 정보 분석과 그 해석
3. 상소문에 대한 평가와 해석
4. 마무리: 상소문에 담긴 중층적 요소와 그 해석
제5장-『훈민정음』의 활용과 후대의 학문적 수용 = 923
1. 『훈민정음』 정음편의 활용
2. 훈민정음에 대한 학문적 연구
3. 마무리
종장-요약과 통합적 해석 = 977
1. 논구 성과의 요약
2. 훈민정음 창제 전후의 사건·정책·서적 편찬에 대한 종합적 해석
3. 훈민정음의 중층성과 층위 간 통합적 해석
4. 마무리와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