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편 훈민정음에 대한 사유
제1장 훈민정음 창제 이전, 언어와 문자 = 11
제2장 이 땅을 밝힌 훈민정음 = 43
제3장 훈민정음, 성운학적 기초 = 116
제4장 ‘훈민정음’은 누가 만들었나? = 166
제5장 경북안동지역 훈민정음의 보급 = 220

제2편 훈민정음 내용 분석
제1장 종성 규정과 ‘범자필합이성음凡字必合而成音’ = 255
제2장 『세종실록』 분석을 통한 훈민정음 창제 과정 = 275
제3장 ‘훈민정음’ 연구의 미래 = 301
제4장 훈민정음 연구사 = 323
제5장 『훈민정음 해례』 텍스트의 오류 분석 = 338
제6장 『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 = 365
제7장 『훈민정음』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 = 397
제8장 일제강점기의 훈민정음 연구 = 428

제3편 훈민정음 보급과 활용
제1장 우리 말과 글의 변천 = 459
제2장 한글 어떻게 보급 확산되었나 = 496
제3장 화원승 신민의 한글 편지 분석 = 528
제4장 한문에서 한글로, 글말과 입말의 분리와 통합 = 564
제5장 AI 기반 한글 지식 정보 확장 전략 = 601
제6장 한글 분석 기반에서 ISLA데이터 멀티모달 구축 방안 = 627

참고논저 =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