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해제편] = 차례

해제 근대적 시선으로 바라본 남ㆍ북 강원도의 제 풍경, 강원도의 로컬리티
제1장 19세기 말~20세기 초 금강산과 강원도를 기록하다 = 15
1. 외국인 여행자와 그 기록들 = 17
2. 내국인 여행자와 그 기록들 = 41
3. 여행 경로 = 44

제2장 강원도의 로컬리티를 사유하다 = 56
1. 명승지 관광의 메카로서의 강원도 = 56
2. 통과하는 여행지로서의 강원도 = 68
3. 발전과 조화의 원천으로서의 강원도 = 78

제3장 강원도의 꿈을 품다 = 96


[자료편] 차례

제1부 개항 이후~1910년 이전 강원도 여행기와 기록
제1장 개인 여행기
이상수|동행산수기 = 103
손봉상|금란굴기 = 122
이규준|금강일기 = 125

제2장 교과서 수록 강원도 소개글
역사지리-금강산 = 139
강원도 = 141
현채|금강산 = 142

제2부 일제강점기 남-북 강원도 지역별(시ㆍ군별) 주요 여행기와 기록
제1장 강원도 일반
차상찬|조선의 처녀지인 관동지역 = 147
차상찬|도내 교육 급 종교 개황 = 150
차상찬|위미부진한 강원도의 산업 = 151
차상찬|영서 팔군과 영동 사군 = 154
차상찬|이 땅의 민요와 동요 = 187
차상찬|관동잡영 = 195
차상찬|태봉왕 김궁예는 엇더한 인물인가 = 200
차상찬|비절장절한 민대장의 약사 = 203
차상찬|강원도를 일별한 총감상 = 206
수춘산인|관동의 봄소리 = 214
임화|경원가도의 초입 = 217
노자영|동해안의 갈매기 = 219
김사량|산시 삼시간 = 221
차상찬|산악의 전설-치악산의 전설, 금강산의 전설 = 229

제2장 북강원도
원산시(문천시) | 문천시
차상찬|함남열읍대관-함남의 목탄고인 문천군 = 239
김춘강|각지의 녀름과 그-통신-원산의 명사십리 = 241
차상찬|명태 왕국인 원산부 = 243
차상찬|원산의 울타리 덕원군 = 249
김안서|명사십리(민요시) = 251
김동인|행복 = 253
WA생|명사십리에서 = 254
이정구|지방색-산천제 = 272
제삼대 |사대도시 암야탐사기-송도 명사 원산의 밤 = 274
이량|와우리 = 280
한용운|명사십리행 = 287
이동원|여름의 환락경, 해수욕장의 ‘에로그로’ = 307
동방청|여름 행락지-송도원과 해금강 = 312
초사|해당화 필 때, 명사십리에서 = 315
노자영|세 처녀와 물싸움 = 322
해당화|외인 별장 풍경-이국풍경 명사십리의 금발랑 = 325
송금숙|명사십리의 정혼 = 328
모윤숙|그때 그 항구의 맘-원산항에 남긴 약속 = 331
D생|제이로 피서지-원산 석왕사 삼방약수포를 두르 도라, 변장어사의 수기 = 334
이선희|항구의 로맨쓰-돼지순대와 원산항 = 343
이기영|원산행 소감 = 346
유동민|내 지방 현장보고-어항 원산의 편모 = 349
조태일|지방논단-무역도의 건설 = 357
김형규|바다의 명상 = 359

안변군(안변/삼방)/통천군(송전/장전/총석정/통천)
차상찬|대두 특산지 안변군 = 362
춘파|설중 설봉산행 = 366
차천자|안변 이야기 = 371
금릉인|흐르는 인생 = 373
이무영|우울 열차 = 378
무명씨|양미만곡-삼방폭포와 약수 = 380
무명씨|조선각지 폭포관-삼방폭포 = 381
무명씨|조선각지 폭포관-고음폭포 = 382
세포의 한 기자|세포의 당면 문제 = 383
신고산 남석종|지방색-단풍노리 = 385
사우춘|여름 행락지-삼방약수와 석왕사 = 387
이기영|태평양과 삼방 유협 = 390
현상윤|여름 삼방도 또한 절승 = 393
홍효민|삼방의 추색-약수포와 폭포의 소묘 = 396
박승극|삼방폭포행 = 399
노자영|삼방과 물 = 403
오종익|삼방협 = 406
이헌구|바다의 금강 ‘동해의 송전’ = 408
정태양|장천통신초 = 410
이헌구|피서지 찬-송전상찬기 = 412
이헌구|항구의 로맨쓰-여름바다의 애수 백일의 장전항 = 416
함대훈|송전의 훌라딴스 = 420
리정하|총석정에서 부른 노래 = 423
일 공민|세포에서 석왕사로 = 427

고산군
무명씨|석왕사 = 431
C. K. 생|석왕사 가는 길 = 432
이광수|석왕사 = 452
박순천|그해 그 여름 연인의 무릎을 베고 이를 잡히다 들켜 = 454
기자|향토 정서 넘노는 곳 = 456
오종익|석왕사 = 457

이천군(안협)/김화군/평강군
이태준|고향예찬:그 강산과 그 문자-용담 이야기 = 459
이하윤|고향예찬:그 강산과 그 문자-이천으로 왓소 = 461
송석하|조선팔도민속개관-김화의 성황신앙 = 465
평강소금강원선전회|영서의 소금강 = 468
송석하|조선팔도민속개관-평강 전대감신앙 = 471

금강군(금강산)
이광수|금강산유기 = 473
<동아일보> 1924년 9월 11일 자 = 520
조선총독부|부사산과 금강산 = 521
이상화|금강송가 = 523
늘봄|백련과 홍련 = 527
창은|일견금강산 = 538
박석윤|산수자랑 우리의 산수미-세계 명승을 주유하고 와서 = 549
아그노엘|금강산서회 = 550
최남선|금강예찬 = 551
김형원|금강잡기 = 621
김동인|반도팔경 = 625
무명씨|조선각지 폭포관-금강산 폭포 = 626
안기영|여름의 회상 예술가들의 여름 지난 이야기-금강산순례 = 627
이은상|금강영 = 628
팔대수|금강영 = 638
고유섭|의사금강유기 = 641
김도학|금강산유람기 = 654
최숙영|금강산이 보고 십다 = 664
김구하|금강산관상록 = 665
현제명|금강산을 첫 손에 = 670
백운당|금강산사화초 = 671
고유섭|금강산의 야계 = 676
영 수|금강산 만화 행각 = 682
망월은사|조선의 님프 금강산 보덕 여신 = 683
김윤경|금강산탐승향도기 = 686
변영만|나와 금강산 = 705
김호직|철원 지나 금강산으로 = 710
이병기|지리ㆍ역사ㆍ풍광으로 본 금강산 = 713
한설야|금강산유기 = 723
박노갑|비로봉 = 734
김태오|여행 중에 얻은 로맨스-내금강 진주담 = 739
이병기|탐승안내기-금강산 편 = 745
차상찬|팔도산수타령 = 755
무명씨|조선박람회:반도의 물산과 문화-13도 각 도를 전망하며 = 758
정비석|내금강기행문 = 759
미상|제30과 외금강 = 781
정래동|금강산유람기 = 783
오종익|금강산 = 793

제3장 남강원도
철원군/양구군
김기전|궁예 왕의 옛 서울을 밟고 = 799
무명씨|태봉 고국 철원군 = 804
차상찬|세계 희유의 사설 유곽-보라 이 유산자의 소위를 = 807
무명씨|조선 각지 폭포관-용화 폭포 = 811
주북산인|고도고적순례-태봉국 고도 철원 = 812
차상찬|태봉 왕 궁예 비사 = 816
한국동|지방색-메물전병 = 823

고성군/속초시/양양군
김찬룡|화랑의 호수 = 826
송석하|설악 정복 = 835
일기자|남신북통-양양통신 = 840
박관옥|지방색-메리치잡이 = 842

춘천시
차상찬|춘천의 봄소식은 엇더한가-춘곡 형에게 = 844
미상|이상향의 건설-독지독행으로써 경영되는 춘천군 송암청년회 = 848
무명씨|조선 각지 폭포관-방곡구곡폭포 = 851
송석하|민요에 나타난 빛 = 852
김유정|오월의 산골작이 = 854
이석훈|그 강의 정서-소양강, 신연강 = 858

강릉시/삼척시
동화생|강릉의 설마 = 861
차상찬|천하기연인 강릉의 홍장암 = 865
무명씨|조선 각지 폭포관-금강연 = 870
차상찬|산자수명의 강릉으로 가겠소 = 871
춘성|동해안의 신비경 = 872

원주시/영월군/평창군/횡성군
송풍생|지방색-송이 ᄯᅡ기와 쳘렵 = 875
미상|이상향의 건설-자활 자치에 백도 구비한 원주군 취병리 흥풍회 = 877
김성목|단종대왕장릉참배기 = 882
이효석|비로 마킨 고향길 = 888

참고문헌 = 890

[부록]편 차례
1. 내국인 기록물(지역명 가나다순) = 900
2. 강원도 소재 외국인 기록물(국내 여행ㆍ체류 시기/발행 시기 순) = 907
3. 북한 간행 자료(지역명 가나다순) = 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