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01 쇠고기
1. 삼한에서 고려까지 = 14
● 삼한과 삼국시대
● 고려
원 간섭기 이후
2. 조선 전기 = 26
● 금도령과 ‘달단 화척’
● 불법 도축과 쇠고기 소비의 증가
3. 조선 후기 = 41
● 서울의 사도
● 지방 사도
● 관포
국가가 설치한 공식 관포|국가가 묵인한 지방의 관포
● 법의 무력화

02 반인
1. 반촌 = 72
2. 반인 = 84
● 반인의 유래
● 반인의 수
● 반인의 노역
3. 반주인 = 112
4. 반인의 성격과 문화 = 124
● 반인의 언어와 폭력적 성향
● 반인의 지식과 한시 문학 및 예술

03 성균관과 삼법사
1. 성균관 = 144
● 조선 전기 성균관의 재정
● 임병양란 이후 재정의 붕괴
임병양란 이후 재정 상황|성균관의 재정 수요|성균관의 토지|성균관의 절수 어장|노비신공
2. 삼법사 = 200
● 삼법사와 속전
● 이예와 금란

04 현방
1. 반인과 도축업 = 232
● 반인의 생계수단
● 반인과 소의 도축
2. 현방 = 242
● 현방의 출현 시기
● 현방의 수와 위치
● 현방의 구성과 구성원
● 소의 도축 방법과 부산물

05 수탈
1. 속목․속전과 1707년의 감축 = 262
2. 사헌부 속전의 복구와 성균관의 현방 수탈 = 281
3. 1712년 현방의 빚과 공금 대출의 시작 = 286
4. 삼법사의 본격적 수탈의 전개 = 292
● 1724년 삼법사 속전 감면 요청의 실패와 공금의 대출
● 1728년 조지빈의 상소, 궁핍해지는 반인과 성균관
● 삼법사 속전 감축 요구와 반복된 실패
대사성 정우량․김상규․김약로․서종옥의 요청과 좌절|1740년 대사성 심성희의 해결책 제안|왕과 조정의 무능과 책임 회피
● 1750년 균역청 설치 이후의 사정
● 1812년 궐공과 대책의 실패
5. 새로운 수탈의 주체, 궁방 = 368
6. 명문화된 대책, 〈현방구폐절목〉 = 385
● 1857년 〈현방구폐절목〉
● 1862년 〈현방구폐절목〉

06 대응
1. 현방의 확장과 첩도 = 404
● 현방의 확장
● 첩도
2. 건전과 창전, 우방전 = 428
● 건전
● 창전
● 우방전
3. 어물전과 염해전 등 = 441
● 어물전
● 침어전
● 염해전
● 빙계

07 저항
1. 식당 도고 = 464
2. 게판 = 473
3. 집단행동, 철도 = 477
4. 궐공 = 484

08 해방
1. 제도의 변화 = 500
● 1895년 〈포사규칙〉
〈포사규칙〉의 내용|〈포사규칙〉과 현방|현방의 포사세|포사와 포사세의 관할권을 둘러싼 논란
● 1905년 〈도수규칙〉
● 1909년 〈도수규칙〉
2. 갑오개혁 이후 반인의 활동 = 518
● 회사 설립을 위한 시도
● 검포소
● 균흥조합소
3. 숭의학교 설립 = 528

09 끝맺음 = 537

주 = 550
찾아보기 =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