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4

1부 시대를 넘어선 호적의 존재와 그 의미

秦·漢初 주변민족에 대한 호적제도의 운영: 秦漢簡牘資料를 중심으로 / 김경호 = 19
1. 머리말 = 19
2. 秦·漢初 호적제도의 시행: 󰡔里耶秦簡󰡕의 내용을 중심으로 = 23
3. 胡·漢 호적기재의 차이 = 34
4. ‘胡’에 대한 우대정책과 군현지배 = 40
5. 맺음말 = 56

13-14세기 한·중 호구문서 등재사항의 비교연구: 高麗와 元明의 戶口文書 / 주매 = 62
1. 머리말 = 62
2. 고려와 동시기 원명의 호구문서 = 64
3. 고려와 원명 호구문서 등재사항의 차이점 및 배경 = 75
4. 맺음말 = 83

대한제국 호적과 양안의 상호 관련성 / 김건태 = 85
1. 머리말 = 85
2. 인구 조사 = 87
3. 토지 조사 = 92
4. 호적과 양안 비교 = 98
5. 맺음말 = 106

대한제국기 호구 변동의 의미: 평안북도 정주군 해산면 호적대장과 목장양안 비교 분석 / 이유진 = 109
1. 머리말 = 109
2. 자료 소개 = 113
3. 호적에 등재된 戶口의 성격 = 120
4. 호구 변동에 드러난 호정 운영의 일면 = 125
5. 맺음말 = 166

20세기 전반 전통 농촌지역의 사회변동 양상: 전남 나주군 다시면의 사례 / 정승진 = 135
1. 머리말 = 135
2. 다시면의 경지조건 = 140
3. 토지소유관계의 변동 = 146
4. 다시면의 사회구성 = 154
5. 영동리의 草洞大同契 = 162
6. 맺음말 = 171

2부 신분의 계승과 변동을 추적하는 새로운 방법

19세기 조선 사회의 계층 이동 양상: 유학호와 비유학호의 비교를 중심으로 / 권내현 = 179
1. 머리말 = 179
2. 분석 대상과 방법 = 182
3. 계층 이동 유형 = 190
4. 계층 이동 요인 = 198
5. 맺음말 = 209

18~19세기 감영소재지의 인구구성과 향리층의 존재양상: 경상도 대구부를 중심으로 / 권기중 = 211
1. 머리말 = 211
2. 인구의 구성 = 213
3. 호구의 존속과 탈락 = 220
4. 향리층의 존재양상 = 224
5. 맺음말 = 229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이종서 = 233
1. 머리말 = 233
2. 16~17세기 학성이씨 가계의 구성 = 236
3. 16~17세기 학성이씨 향리가계의 혈연의식 = 243
4. 17세기 후반 향리직 이탈과 학성이씨 문중 성립 = 258
5. 맺음말 = 264

19세기 거제도 舊助羅 촌락민의 職役變動과 家系繼承 양상: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송양섭 = 268
1. 머리말 = 268
2. 『里戶籍中草󰡕의 특징과 호구파악 방식 = 271
3. 직역구성비의 변화와 직역운영의 특성 = 283
4. 가계별 직역 배정과 계승양상 = 299
5. 맺음말 = 311

조선후기 호적상 무임직역의 계승과 변동: 대구부 읍치와 외촌에 거주하는 몇몇 가계들을 사례로 / 이동규 = 319
1. 머리말 = 319
2. 읍치지역 마경백·마업세 가계 = 323
3. 외촌지역 노건가계 = 338
4. 무임직역의 지속과 변동 = 343
5. 맺음말 = 349

3부 지역과 친족네트워크, 그리고 역사인구학

대구지역 한 양반가의 戶의 移居와 혈연결합 / 정진영 = 353
1. 머리말 = 353
2. 최씨가의 거주지 이동 = 358
3. 호적 호의 혈연구성 = 368
4. 맺음말 = 390

호적으로 본 단성 합천이씨들의 공존과 배제 양상 / 한상우 = 393
1. 머리말 = 393
2. 단성 입향부터 동성촌락 형성까지 = 396
3. 주요 가계의 거주 및 직역 계승 양상 = 402
4. 친족 결집의 조건들: 혈연, 지연, 신분 = 411
5. 맺음말 = 420

조선후기 평민 同姓마을의 형성과 특징: 大丘府 解北村 廣里의 丹陽 禹氏 사례 / 김경란 = 423
1. 머리말 = 423
2. 丹陽 禹氏 同姓마을의 형성시기 = 425
3. 인적 구성의 확대와 他 姓貫의 배제과정 = 433
4. 同姓마을 구성원의 혈연적 연관성과 혼인관계 = 443
5. 맺음말 = 452

산 자와 죽은 자의 기재: 戶籍과 族譜에 대한 역사인구학의 관점 / 손병규 = 456
1. 머리말 = 456
2. 호적과 족보에 기재된 인물의 신분 정보 = 459
3. 연구방법으로서의 인구와 가족 = 467
4. 가족사의 재인식 = 477
5. 맺음말 = 485

한국의 인구변천과 혼인출산율 변화: 자녀의 생존과 출산간격 조절을 중심으로 / 계봉오, 박희진 = 487
1. 머리말 = 487
2. 출산력 변천: 영아 사망, 유아 사망, 출산간격 = 488
3. 한국의 상황 = 493
4. 가설 = 496
5. 자료: 언양면 가족가구 등록 자료 = 498
6. 방법론 = 502
7. 분석결과 = 503
8. 요약 및 논의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