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편. 백제의 칠지도와 동성왕 인물화상경

제1장. 백제 전지왕 ‘奉元四年’명 칠지도와 그 사상적 배경
1. 머리말 = 3
2. 연호 ‘奉元’과 칠지도명의 석문 = 8
(1) ‘奉元四年十一月十六日’의 석독
(2) 명문의 구성과 석문
3. 길상구설의 문제와 전지왕의 연호 제정 = 25
4. 칠지도 제작의 사상적 배경 = 37
(1) ‘周 正月 冬至’와 ‘丙午 正陽’
(2) 칠지도 도상에 투영된 ‘奇生’의 원리
(3) ‘百練銕七支刀’와 전륜성왕의 이념
5. 맺음말 = 60

제2장. 백제 동성왕 인물화상경(‘隅田八幡鏡’)과 사마
1. 머리말 = 64
2. 명문의 석독과 석문 = 68
(1) 명문의 석독
(2) 명문의 문장 구성과 석문
3. 동경 제작의 주체와 동경의 성격 = 79
(1) 기년의 표기방식과 제작 주체
(2) 장봉(長奉)의 동(同, 銅) 200두()와 그 성격
4. 동성왕 13년(491) 동경의 제작과 그 배경 = 94
5. 동경의 대왕-사마와 웅진기 백제 왕실 계보의 복원 = 102
6. 맺음말 = 117


제Ⅱ편. 「신라촌락문서」와 촌락사회

제1장. 「신라촌락문서」의 연구 현황과 석독
1. 머리말 = 123
2. 「신라촌락문서」의 연구현황과 쟁점 = 127
3. 「신라촌락문서」의 추기(追記)와 석독 = 142
4. 「신라촌락문서」의 이두 사용례와 어법 = 152
5. 맺음말 = 170

제2장. 「신라촌락문서」의 인구통계와 그 작성 시기
1. 머리말 = 176
2. 공연과 계연, 9등연 = 178
(1) 공연
(2) 계연과 9등연
3. 문서의 인구 통계와 그 작성과정 = 196
(1) 문서의 구조와 인구통계의 정합성
(2) 문서의 작성 과정
4. 문서의 작성 시기 = 207
(1) 695년설의 몇 가지 문제
(2) 이두의 용법으로 본 문서의 작성 시기
5. 맺음말 = 226

제3장. 「신라촌락문서」의 연령구분과 촌락사회
1. 머리말 = 228
2. 연령구분과 제(除)・노(老) = 229
3. 공연의 여자(余子)・법사(法私) = 242
(1) 여자(余子)
(2) 법사(法私)
4. 왕실 직속촌의 운영 = 262
5. 헌덕왕대 촌락사회의 인구변동과 동요 = 277
6. 맺음말 = 287

제4장 「신라촌락문서」의 우마 사육과 전답 및 수목 경영
1. 머리말 = 293
2. 촌락의 우마(牛馬) 사육 = 294
3. 기촌관모답(其村官謨畓), 내시령답(內視令畓)과 촌주위답(村主位畓)·연수유전답(烟受有田 畓)의 성격
(1) 기촌관모답(其村官謨畓)
(2) 내시령답(內視令畓)
(3) 연수유전답(烟受有田畓)과 촌주위답(村主位畓)
4. 마전(麻田)의 경작과 수목(樹木)의 재배 = 315
5. 맺음말 = 325

제5장. 신라의 토지제도 변화와 촌락민의 생활
1. 머리말 = 328
2. 문무관료전(文武官僚田) = 329
3. 녹읍(祿邑)의 폐지와 세조(歲租) = 339
4. 적성연사법(赤城佃舍法)과 정전(丁田)·연수유전답(烟受有田畓) = 348
5. 사전(私田)의 발생과 촌락민의 생활 = 353

제Ⅲ편. 「신라내성모접문서」와 모전첩포기

제1장. 「신라내성모접문서」(‘사하리가반부속문서’)와 신라 내성의 마목장 운영
1. 머리말 = 367
2. 본 문서의 연구 현황과 쟁점 = 370
3. 「신라내성모접문서」의 마소내(馬所內)와 마모미(馬毛尾)‧모접(毛接) = 378
(1) 마소내(馬所內)
(2) 마모미(馬毛尾)의 공납(貢納)
(3) 모접(毛接)
4. 「신라내성모접문서」의 마료‧초가와 그 제작시기 = 391
(1) 파천촌(巴川村)의 미(米)‧대두(大豆) 징납과 마료(馬料)
(2) 「신라내성모접문서」의 축(丑)‧실(失)과 초가(草價)
(3) 「신라내성모접문서」의 제작시기
5. 9세기 전반 신라 내성(內省)의 마정(馬政) = 411
6. 맺음말 = 424

제2장. 「신라모전첩포기」와 신라물
1. 머리말 = 427
2. 「신라모전첩포기(新羅毛氈貼布記)」 = 428
3.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의 신라물 = 441
4. 정창원(쇼소인) 신라물의 전래 시기와 대일 교역 = 448
5. 맺음말 = 458


제Ⅳ편. 신라 집사성첩과 신라종

제1장. 신라 흥덕왕대 집사성첩(執事省牒)과 대일(對日) 관계
1. 머리말 = 463
2. 기삼진(紀三津) 방환(放還)의 전말과 집사성첩문(執事省牒文) = 468
3. 집사성첩식(執事省牒式)과 문서 행정 = 478
4. 신라의 대일정책과 집사성첩의 성격 = 494

제2장. 신라 중‧하대 신라종과 주종불사(鑄鐘佛事)
1. 머리말 = 508
2. 신라종과 종명(鐘銘)의 석독 = 510
(1)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
(2) 무진사종(无盡寺鐘)
(3) 선림원종(禪林院鍾)
(4) 청주 연지사종(菁州 蓮池寺鐘)
(5) 규흥사종(竅興寺鐘)
(6) 송산촌대사종(松山村大寺鐘)
3. 주종불사(鑄鐘佛事)의 변화와 지방사회 = 540
4. 주종불사(鑄鐘佛事)의 사상적 배경 =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