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고전시가 연구의 쟁점과 율격의 문제
제1장 고전시가 연구의 쟁점 = 11
1. 상대시가 연구의 쟁점-역사적 배경에 대한 연구 = 12
2. 향가 연구의 쟁점 = 29
3. 속요 연구의 쟁점 = 36
4. 악장 연구의 쟁점 = 42
5. 시조 연구의 쟁점 = 47
6. 가사 연구의 쟁점 = 52
7. 잡가 연구의 쟁점 = 56
8. 민요 연구의 쟁점 = 59

제2장 한국시가 율격의 이론 = 64
1. 언어와 시가와 율격 = 67
2. 시가의 본질적 성격 = 69
3. 율격의 본질적 성격 = 73
4. 한국시가 율격의 본질 = 84

제2부 향가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난제
제1장 민족 통합과 향가의 발생 = 101
1. 신라의 민족 통합 과정과 향가 = 104
2. 향가의 발생과 성행 = 124

제2장 <혜성가>와 민족시가 형식의 탄생 = 132
1. 노래와 주술의 관계 = 134
2. <혜성가>의 특성 = 141
3. <혜성가>와 민족시가 형식의 탄생 = 155

제3장 한국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삼구육명의 해석 = 157
1. 기존 연구 검토 = 159
2. 삼구육명의 의미 = 165

제4장 󰡔삼국유사󰡕 찬시를 통한 새로운 자료의 발굴 = 183
1. 󰡔삼국유사󰡕 찬시의 분포 양상과 그 성격 = 184
2. 「순도조려順道肇麗」조의 분석 = 194
3. 「순도조려」 찬시의 고구려 노래적 성격 = 206

제3부 고려시가 연구의 난제들
제1장 속요 율격의 중요성 = 211
1. 예비적 고찰 = 212
2. 속요 율격의 이론 = 223

제2장 <만전춘별사>의 명의名義와 작품의 성격 = 238
1. 기존 연구 검토 = 241
2. <만전춘별사>의 명의名義 = 248
3. <만전춘별사>의 문학적 성격 = 258

제3장 <정석가>에서 삼동의 의미 = 269
1. 선행 연구의 검토 = 271
2. ‘삼동三同’의 어석語釋 = 280

제4장 속요에서 렴斂의 중요성 = 292
1. 렴의 개념 = 293
2. 렴의 종류 = 302
3. 렴의 기능 = 311
4. 쌍화점의 렴 = 321

제5장 경기체가의 장르적 성격 = 335
1. 기존 연구의 검토 = 336
2. <한림별곡>의 문학성 = 337
3. <한림별곡>의 장르적 성격 = 357

제4부 가사의 전통과 계승의 방향
제1장 강호가사의 전통과 계승 방향 = 361
1. 강호江湖의 성격 = 363
2. 조선시대 선비와 강호가사 = 368
3. 강호가사의 성격 = 371
4. 강호가사의 전통과 계승 = 381

제2장 <성산별곡>의 구조 = 387
1. 문학과 시간성 = 389
2. <성산별곡>의 구조와 시간성의 문제 = 397

제5부 민요 연구의 난제들
제1장 한국민요 분류의 이론 = 415
1. 민요의 본질적 성격 = 415
2. 민요의 분류 = 432

제2장 정치민요의 성격 = 447
1. 예비적 고찰 = 450
2. 정치민요와 비일상성 = 454
3. 정치민요의 특성 = 471
4. 정치민요의 성격 = 475

제3장 소통과 불통으로 본 민요와 시가의 관계 = 479
1. 민요와 시가의 발생 과정 = 481
2. 민요와 시가의 성격 = 488
3. 민요와 시가의 소통과 불통 = 501

제4장 철원 지역 민요의 중요성과 전망 = 516
1. 철원 지역의 자연과 환경 = 518
2. 조사자료 개관 = 526
3. 철원 지역의 민요 = 528
4. 철원 지역 민요의 특징 = 567

제6부 시가의 시간성에 대한 문제
제1장 향가를 통해 본 신라인의 시간 개념 = 575
1. 문학과 시간성 = 576
2. 향가와 시간성 = 584
3. 향가에 나타난 시간성 = 587

제2장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시조의 시간성 = 603
1. 윤선도의 생애와 사상 = 605
2. <어부사시사>의 시간성 = 610

제7부 시가의 사회사적 의미와 콘텐츠
제1장 견훤문학의 문예콘텐츠화 방안 = 631
1. 견훤의 생애와 야래자설화 = 633
2. <완산요>의 문예콘텐츠화 = 646

제2장 호칭을 통해 본 노래의 성격에 대한 고찰 = 662
1. 호칭과 인간관계 = 664
2. 고전시가에 표현된 ‘님’ = 667
3. 민요와 유행가에 표현된 님 = 675
4.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호칭 변화의 사회적 의미 = 685

제3장 시가문학에 대한 남북 평가의 차별성과 동질성 = 689
1. 문학사 서술의 방법 = 690
2. 시가문학에 대한 서술 관점 = 692

제4장 텍스트 맥락과 현장의 맥락을 통해 본 시가의 성격 = 715
1. 고전시가의 성격 = 717
2. 텍스트의 맥락과 현장의 맥락 = 726

제5장 하이쿠와 시조를 통해 본 한일 시가의 비교 = 739
1. 속요와 와카和歌의 전반적 성격 = 744
2. 속요의 이별가에 나타난 한의 정서 = 750
3. 와카의 이별가에 나타난 한의 정서 = 762

참고문헌 = 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