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부 근대 한국어문학 연구와 미디어
공성수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 그 가능성과 의의 = 17
1. 왜 소설 삽화 연구인가? = 17
2. 소설과 삽화, 장르의 교섭은 실재하는가? = 20
3. 삽화 연구가 소설의 이해에 정말로 기여하는가? = 27
4. 소설과 삽화를 함께 읽을 때, 독자의 경험도 변화하는가? = 36

이재연ㆍ정유경 국문학 내 문학사회학과 멀리서 읽기 = 44
1. 영미문학의 멀리서 읽기와 문학사회학 = 44
2. 골드만, 김현과 소설사회학 = 48
3. 에스카르피, 이선영, 권영민과 문학사회학 = 51
4. 김영민과 매체 중심의 문학사회학 = 60
5. 정량분석, 매체연구, 검열연구 = 61
6. 근현대 한국문학의 멀리서 읽기 = 68
7. 복자覆字의 멀리서 읽기 시론 = 76
8. 나가며 = 89

안예리 근대 신문 광고의 언어 사용 양상 = 95
1. 근대 신문의 주류 광고 = 95
2. 주류 광고의 문체적 특징 = 98
1) 표제 = 98
2) 본문 = 106
3) 광고주 = 109
3. 주류 광고의 문법적 특징 = 110
1) 통사 단위 = 110
2) 문장종결법 = 115
3) 상대높임법 = 117
4. 주류 광고의 어휘적 특징 = 123
1) 주류명 = 123
2) 주종별 광고 어휘의 특징 = 125
5. 요약 및 남은 과제 = 133

제2부 근대문학 텍스트와 서사 양식
박진영 혁명기 공안소설과 연애 서사의 번역 = 139
1. 공안과 연애의 풍경 = 139
2. 폭풍 전야의 『매일신보』 연재소설 = 141
3. 가정소설화한 공안소설 = 147
4. 원앙호접파 문학과 가정소설의 거리 = 153
5. 중국문학 번역의 실험과 전환 = 159

배정상 강명화 정사 사건과 딱지본 대중소설 = 162
1. 자유연애와 정사 그리고 소설 = 162
2. 강명화 소재 딱지본 대중소설의 종류와 특성 = 165
3. 주요 텍스트의 서사 전략 및 모방 양상 = 174
4. 모방과 표절의 경계에서 = 195

반재유 근대시기 삼강록의 계승과 변용『경남일보』의 「삼강의 일사」를 중심으로 = 202
1. 『경남일보』의 연구사와 자료적 가치 = 202
2. 「삼강의일사」와 정표정책 = 205
3. 삼강록의 계승, 그리고 여성의 열행烈行 = 214
4. 「삼강의일사」의 의미 = 223

제3부 근대 미디어의 언어와 문체
김영민 언문일치와 구어체 한글소설의 정착 과정-이광수의 경우를 중심으로 = 229
1. 들어가며 = 229
2. 언문일치와 이광수의 한글소설 = 230
3. 『춘원단편소설집』과 구어체 한글소설의 정착 = 246
4. 나오며 = 263

김병문 ‘국어문법’의 계보와 문어文語 규범의 형성이라는 문제에 대하여박승빈의 표기법 및 문법을 중심으로 = 268
1. 들어가기 = 268
2. 근대 한국어의 문장 모델과 한글 표기법 논의의 관련성 = 271
3. 박승빈의 문법과 한자 훈독식 표기와의 관계 = 279
4. 1930년대 표기법 논쟁의 재검토 = 290
5. 나가기 = 301

간행사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