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4

I 북한 민속의 DB 해제

북한 민속문화 기록의 민속문화학과 민속인류학 |강정원 = 14
1. 북한 민속문화의 존재와 자유 = 15
2. 북한과 남한의 민속문화 = 16
3. 북한 민속문화 기록 과정 = 21
4. 북한 민속 기록 공유와 그 인류학적이고 민속학적 의미 = 23
5. 분단 극복과 통일의 민속문화학ㆍ민속인류학 = 25

북한 민속에 대한 구술의 성과와 의의 |강주원 = 28
1. 시작하면서 = 29
2. 구술 과정 및 분류 기준 그리고 통계로 본 성과 = 32
3. 성과와 의의 = 71

북한 민속의 자료유형 해제 |차은정 = 80
1. 자료의 유형과 범주 = 81
2. 자료 수집의 경위 = 84
3. 자료 매체와 수집 전략 = 86
4. 자료유형별 DB 구축 건수와 연차별 주요 내용 = 88

II 구술, 문헌, 물증,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DB 요약

구술 = 94
1. 세시, 명절과 기념일 = 95
2. 일생의례 = 134
3. 의식주 생활 = 177
4. 여가와 놀이 = 215
5. 종교와 민간신앙 = 260

문헌, 물증, 동영상, 이미지 = 292
1. 태양절과 광명성절 = 293
2. 결혼과 출산 = 296
3. 상ㆍ장례와 기제사, 성묘 = 300
4. 환갑과 생일상 = 304
5. 의례 복식생활 = 307
6. 일상 음식생활 = 309
7. 학교 공간생활 = 313
8. 가정여가 = 316
9. 지역놀이 = 318
10. 김일성 숭배와 혁명설화 = 324
11. 무속과 미신 = 327
12. 북한 문헌에서 나타난 천도교와 단군 신앙 = 330

참고문헌 = 337

부록
통일한국 토대구축을 위한 북한의 생활ㆍ역사문화 DB구축 : 전문가 자문회의 및 학술행사 = 340
연구진 활동 사진 =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