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 이역만리, 사행을 떠나다 = 11

1. 기록화로 남긴 부경사행길 = 14

2. 사행을 통한 정보와 지식의 교류 = 16

3.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사행길 = 30

II. 외교관으로 성장하다 = 47

1. 조선의 외교 원리와 기관 = 50

2. 역관으로 등용되기까지 = 62

3. 여항문화 속 역관 = 76

II. 역관열전 = 91

1. 외교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다 = 94

2. 부자로 이름난 역관 = 100

3. 시문으로 인정받은 상서사가 = 106

4. 조선의 서화를 집대성한 마지막 역관 = 114


IV. 왜관과 부산의 역관 = 121

Waegwan and Busan''s Interpreters = 124

1. 조선의 일본인 마을, 왜관 = 132

2. 왜물의 유입과 조선 전래 = 160

3. 역관의 집무소, 성신당과 빈일헌 = 170

4. 부산의 왜학역관과 소통사 = 179

특별논고 = 180

1.조선시대 대외관계와 역관의 역할 = 186

2. 조선시대 중인 네트워크 속 역관 = 194

3. 왜관을 통한 왜물의 유입과 조선인의 인식 = 202

4. 조선후기 동래부의 하급 통역관, 소통사 = 210

참고문헌 = 212

도판목록 = 220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