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조강연 1 21세기 한그르이 미래 * 홍윤표 = 9
기조강연2 Hangul and Product of K-Culture * 로얄드 말리앙카이 = 33

발표문 1 국립한글박물관의 소통 확장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 연구 - 「청구영언」전시를 중심으로 * 배은석 = 43
토론문 1 김상헌 = 52

발표문 2 지역 문화콘텐츠를 기반한 도시 디지털 서체 개발: 서울 금천 디지털 서체를 중심으로 * 이한나, 강병호 = 55
토론문 2 이기성 = 67

발표문3 재일코리안 집중거주 지역의 한글경관: 이쿠노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 정성희 = 79
토론문 3 김정희 = 83

발표문 4 글로벌 한글 교육에서의 K-contents 활용 연구: 위버스 에듀의 콘텐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문현선 = 85
토론문 4 신정하 = 92

발표문 5 일본에서의 「82년생 김지영」과 한국 문학의 붐 - 페미니즘과 사회 비판을 중심으로 *후쿠시마 미노리 = 95
토론문 5 김경희

발표문 6 대만 지역별 한글 교육 환경 비교: 타이베이와 가오슝을 중심으로 * 홍유선 = 105
토론문 6 장영희

발표문 7 포스트 한한령 시기 중국 인터넷 플랫폼에서의 한류 전파에 대한 논의 * 천원징 = 113
토론문 7 오연 = 118

발표문 8 미국 내 한글 교육 현황 * 최범용 = 121
토론문 8 강소영 = 136

포스터 1 언어와 민족정체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영화 <말모이>를 중심으로 * 길예은 = 141
포스터 2 e스포츠의 스포츠성 연구 - <리그 오브 에전드>를 중심으로 * 김준서 = 143
포스터 3 2022 한국 영화 흥행 실패 요인 분석 * 양성민 = 145
포스터 4 원어로의 한국 영상콘텐츠의 수출 주창 * 전지혜 = 147
포스터 5 한류문화콘첸츠로서의 한국 예능프로그램 자막 * 쿠보타 히카루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