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국문초록 = 12

1. 서론= 17
1.1. 연구목적 = 17
1.2. 선행연구 = 21
1.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29

2. 어휘의미 확장의 인지언어학적 원리 = 37
2.1. 은유의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 41
2.2. 개념적 은유의 사상 특징 = 45
2.3. 날씨 어휘와 개념적 은유 = 47

3. 한국어 날씨 어휘의 의미 확장 양상 = 53
3.1. 바람 = 53
3.1.1. ‘바람’ 어휘의 종류 = 53
3.1.2. ‘바람’ 관련 표현 = 62
3.2. 구름 = 77
3.2.1. ‘구름’ 어휘의 종류 = 77
3.2.2. ‘구름’ 관련 표현 = 88
3.3. 비 = 98
3.3.1. ‘비’ 어휘의 종류 = 98
3.3.2. ‘비’ 관련 표현 = 109
3.4. 눈 = 114
3.4.1. ‘눈’ 어휘의 종류 = 114
3.4.2. ‘눈’ 관련 표현 = 118

4. 중국어 날씨 어휘의 의미 확장 양상 = 125
4.1. 风 = 125
4.1.1. ‘风’ 어휘의 종류 = 125
4.1.2. ‘风’ 관련 표현 = 129
4.2. 云 = 146
4.2.1. ‘云’ 어휘의 종류 = 146
4.2.2. ‘云’ 관련 표현 = 154
4.3. 雨 = 166
4.3.1. ‘雨’ 어휘의 종류 = 167
4.3.2. ‘雨’ 관련 표현 = 172
4.4. 雪 = 179
4.4.1. ‘雪’ 어휘의 종류 = 179
4.4.2. ‘雪’ 관련 표현 = 182

5. 한국어와 중국어 날씨 어휘의 대조 분석 = 193
5.1. 대조 분석 = 193
5.1.1. 한국어 ‘바람’과 중국어 ‘风’의 대조 = 193
5.1.2. 한국어 ‘구름’과 중국어 ‘云’의 대조 = 202
5.1.3. 한국어 ‘비’와 중국어 ‘雨’의 대조 = 210
5.1.4. 한국어 ‘눈’과 중국어 ‘雪’의 대조 = 216
5.2. 분석 결과 = 220
5.2.1. 공통점의 원인 = 220
5.2.2. 차이점의 원인 = 222

6. 결론 = 231

참고 문헌 = 239
Abstract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