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5
추천사 = 7
책머리에 = 11

1부 지역기록물과 지역 아카이브
1장 지역기록물의 이해 / 김명옥 = 25
들어가며 = 27
공공기록물과 민간기록물 = 29
민간기록물과 지역기록물 = 31
지역기록물 관리의 이론과 사례 = 34
지역기록물 관리의 중요성 = 47
맺으며 = 49
2장 지역사와 지역 아카이브 / 한정은 = 55
지역 아카이브 시대 = 57
지역사 이해 = 59
기록과 지역 아카이브 = 65
지역 아카이브 구축 = 74
지역 아카이브 활성화 과제 = 87

2부 지역문화가 살아있는 지역 아카이브
3장 문화도시 청주, 지역기록물이 지역문화가 되다 / 이경란 = 99
들어가며 = 101
기록문화 도시, 청주 = 106
기록문화 시민, 청주 = 111
나가며 = 130
4장 시민기록자의 탄생, 이천문화아카이브 / 이동준 = 137
들어가며 = 139
지역문화 뿌리내리기 = 143
지역인문학 : 지역을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 = 150
지역 아카이브 : 우리 힘으로 우리 지역 기록하기 = 173
지역 아카이브의 새로운 영역들 = 196
지역학 : 지역에 대한 통합적 연구 = 228
나가며 = 242
5장 내가 만난 기억, 내가 엮은 마을 이야기 / 배은희 = 255
기억을 수집하는 일 = 257
구술사 사업의 전성기 = 259
기억수집가의 구술기록 수집 이야기 = 261
책자로 만들 때 고려할 점 = 287
앞으로의 마을 구술사 사업 = 292
6장 성북학 더하기 아카이빙, 성북마을아카이브 / 강성봉 = 299
지역학과 지방문화원, 그리고 마을 아카이브 = 301
지역학 조사ㆍ방법론 = 305
성북학의 구현과 실제 = 318
성북마을아카이브 = 333
지역학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