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국어교육학자의 마음이 가 닿은 곳 = 7
프롤로그│독학자의 슬픔 = 21

1장│조선통신중학관, 최초의 조선인 통신학교를 설립하다!
: 일제강점기 통신학교 국어교육과 식민지의 독학자 = 39~67
국어교육의 역사에서 발화되지 못한 곳 │ 통신교육, 강의록, 조선통신중학관 │ 조선어 기반 통신교재 <중학강의록>의 실체와 함의 │ <중학강의록>을 통해 본 식민지 통신학교 국어교육의 양상 │ 독학자, 제국주의의 입신 회로에서 갈등하는 주체

2장│교육제도의 미비와 공백을 넘어 공부의 길로 나가다!
: 해방 직후 통신학교 국어교육과 국민으로서의 독학자 = 71~103
80%에 육박한 문맹률과 통신교육의 필요성 │ 독학자=교외생(校外生), 중학교 내 통신교육부와 사설 통신교육 열풍 │ 중앙통신중학교 통신교재 <중학강의록>의 실체와 국어교육 │ 모국어와 민족성 회복을 위한 전략으로서의 앤솔로지 │ 자학‧자습이 가능한 내용 구성과 주해‧통석 중심의 국어교육 │ 문맹 퇴치와 사회적 문식성 획득의 수평적 확대

3장│한국전쟁의 참화 속에서도 공부의 희망을 놓지 않다!
: 전후 통신학교 국어교육과 재건하는 독학자 = 107~137
폐허에서 재건의 길을 모색하다 │ 독학자의 슬픔, 혹은 진학의 좌절과 비관 │ 전후 통신교육, 사회 복구와 재건의 교육적 모델 │ 중앙통신중‧고등학교의 위상과 <중앙강의록: 중학>의 발굴 │ <중앙강의록: 중학>의 국어교육 특징 : 도구와 지식 │ <중앙강의록: 중학>의 준-제도적 성격과 사회교육 모델

4장│가난하지만 공부를 통해 새로운 삶의 미래를 그리다!
: 산업화 초기 통신학교 국어교육과 노동하는 독학자 = 141~169
독학자, 제도 바깥의 교육적 열망(들) │ 산업화 초기 통신교육과 독학(獨學)이라는 희망 │ 지역에서 발간된 통신학교 교재 <종합강의록 학습교재> │ 지식=희망, 독학도의 삶/꿈 │ 자격고시와 입시 준비를 위한 핵심 내용 발췌 구성 │ 일상생활에 필요한 언어사용기능 학습의 강조와 한계 │ 노동하는 독학자, 통신교육을 통해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다

에필로그│탐사의 기록: 국어교육의 곳곳을 향하여 = 171

참고문헌 = 188
미주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