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출판매체와 로컬리티
제1장 지역・문학・매체 = 15
제2장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로컬리티 = 23
1_들어가는 말 = 23
2_대구・경북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 = 29
3_대구・경북 지역문학의 로컬리티와 연구 방향 = 38
4_맺음말 = 53
제3장 지역 근대문학 매체의 장정과 변모 = 55
1_들어가는 말 = 55
2_지역 화가들과 장정 = 60
3_시기별 장정의 모습과 특성 = 69
4_맺음말 = 87
제2부 대구・경북 근대문학 탄생의 배경
제1장 재전당서포와 광문사의 출판활동 = 91
1_들어가는 말 = 91
2_상업적 영리 지향과 방각본 출판: 재전당서포 = 94
3_근대지식의 보급과 애국계몽 출판: 광문사 = 103
4_맺음말 = 122
제2장 대구의 문학 장(場) 형성과 우현서루 = 125
1_들어가는 말 = 125
2_우현서루(友弦書樓)의 설립 동기와 과정 = 127
3_우현서루 소장도서와 근대지식의 보급 = 134
4_출판사 광문사와의 연계 = 147
5_맺음말 = 151
제3부 지역 근대문학을 주도하는 매체들
제1장 『거화』와 동인들의 활동 = 155
1_동인 작문집 『거화』의 기억 = 155
2_『거화』 그룹의 행방 = 156
제2장 지역 3・1운동의 참여와 기억의 매체 = 171
1_들어가는 말 = 171
2_3・1운동과 개인 주체의 등장 = 173
3_대구지역 3・1운동의 전개와 학생들의 역할 = 178
4_학생 문인들의 3・1운동 참여와 그 기억 = 186
5_맺음말 = 199
제3장 서간(書簡)을 통해 본 이상화 문학의 장소성 = 201
1_들어가는 말 = 201
2_이상화 문학의 형성 기반과 장소성 = 204
3_이상화 시에 나타난 동경(東京)과 대구 = 219
4_맺음말 = 229
제4장 1920~1930년대 지역의 문학매체 = 231
1_들어가는 말 = 231
2_1920년대 문학매체: 『여명』 = 233
3_1930년대 문학매체: 『동성』과 『문원』 = 247
4_무영당서점과 학교에서 나온 등사판 책들 = 263
5_맺음말 = 276
제4부 해방의 기쁨과 흥기하는 매체들
제1장 해방 직후 지역 출판계의 동향과 문학매체 = 281
1_해방 직후 지역 출판계의 동향 = 281
2_종합지, 동인지, 그리고 『아동』, 『새싹』 = 287
제2장 지역의 시문학 매체와 학생시단의 형성 = 303
1_들어가는 말 = 303
2_해방기 대구・경북 지역 시문학 매체 = 305
3_『새벽』과 학생시단의 형성 = 309
4_맺음말 = 320
제3장 황윤섭의 매체활동과 아동・학생문단의 진작 = 323
1_들어가는 말 = 323
2_문학적 출발기와 시 창작 = 327
3_해방과 아동・학생문단 주도 = 340
4_맺음말 = 352
제4장 시 동인지 『죽순』의 위상과 매체 전략 = 355
1_들어가는 말 = 355
2_죽순시인구락부와 『죽순』의 탄생 = 357
3_『죽순』의 입지(立地)와 매체 전략 = 365
4_『죽순』 이후, 그리고 『전선시첩』= 379
5_맺음말 = 386
제5부 전선매체의 등장과 지역문학 공간의 구축
제1장 한국전쟁과 전시판 문학매체 = 391
1_들어가는 말 = 391
2_6・25 전후의 문학 매체와 ‘전시판’의 구성 = 393
3_‘전시판’ 문학매체로의 이동 양상 = 403
4_『전선시첩』, 숭고의 시선과 국가주의 전략 = 418
5_맺음말 = 424
제2장 1950~1960년대 초 대구의 문학공간 형성과 출판매체 = 427
1_들어가는 말 = 427
2_한국전쟁기 출판매체와 전시담론의 생성 = 429
3_한국전쟁 이후 출판매체와 문학공간의 진작 = 442
4_딱지본과 대중 독물(讀物)의 유통 = 453
5_맺음말 = 458
제3장 전후(戰後)의 아동문학매체와 대구아동문학회 = 461
1_전후 아동문학 매체의 전사(前史) = 461
2_대구아동문학회의 결성과 매체의 발간 =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