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第一部 한담소하록에 대한 해제 = 13
1. 淸代 文言小說集 『閒談消夏錄』 연구 14-국내 유입된 『閒談消夏錄』 판본과 번역본을 중심으로
1) 『閒談消夏錄』의 편찬자와 成書 과정 = 15
2) 국내 소장 『閒談消夏錄』 판본 = 28
3) 번역본 『閒談消夏錄』의 내용 = 33

2. 한글 필사본 『閒談消夏錄』의 내용 및 번역 양상 연구 = 45
1) 『한담소하록』 구성과 편찬과정 분석 = 46
2) 한글 번역 필사본 『閒談消夏錄』 내용 = 51
3) 『閒談消夏錄』의 한글 번역 양상 = 65

第二部 한담소하록 1․2권 번역 = 75
제1장 閒談消夏錄 卷一上 = 76
1) 동노슈(東海老叟) = 76
2) 운경(韻卿) = 82
3) 벽산소뎐(碧珊小傳) = 88
4) ᄋᆡᆼ매긔(鸚媒起) = 95
5) 긔ᄀᆡ(奇丐) = 102
6) 강초향(江楚香) = 107
7) 니쥬젼뎐(李酒顚傳) = 112
8) 부란ᄉᆞ(傅鸞史) = 118
9) 극도(劇盜) = 124
10) 강원향(江遠香) = 128
11) 몽환(夢幻) = 135

제2장 閒談消夏錄 卷一下 = 141
1) 천운금(穿雲琴) = 141
2) 웅태태(熊太太) = 148
3) 가흥ᄉᆡᆼ(嘉興生) = 155

제3장 閒談消夏錄 卷二上 = 160
1) 반생뎐(潘生傳) = 160
2) 쥬규(周奎) = 170
3) 의견총(義犬塚) = 171
4) 쳑ᄌᆞ이(戚自詒) = 175
5) 가ᄉᆞ(可師) = 178
6) 강미(扛米) = 183
7) 무셕노인(無錫老人) = 185
8) 시금도(尸擒盜) = 188
9) 종진ᄉᆞ(鐘進士) = 194
10) 샤잔(蛇殘) = 199
11) 도반(賭飯) = 201

제4장 閒談消夏錄 卷二下 = 206
1) ᄋᆡᆼ홍(鶯紅) = 206
2) 하시녀(何氏女) = 212
3) 검협(劍俠) = 219
4) 오시(吳氏) = 225
5) 쇄글보ᄉᆞᆯ(鎖骨普薩) = 231

第三部 한담소하록 한글필사본 영인 = 235
제1장 閒談消夏錄 卷一上, 卷一下 = 236
閒談消夏錄 卷一上 = 237
1) 동노슈(東海老叟) = 237
2) 운경(韻卿) = 239
3) 벽산소뎐(碧珊小傳) = 240
4) ᄋᆡᆼ매긔(鸚媒起) = 243
5) 긔ᄀᆡ(奇丐) = 245
6) 강초향(江楚香) = 248
7) 니쥬젼뎐(李酒顚傳) = 249
8) 부란ᄉᆞ(傅鸞史) = 252
9) 극도(劇盜) = 254
10) 강원향(江遠香) = 255
11) 몽환(夢幻) = 257

閒談消夏錄 卷一下 = 259
1) 천운금(穿雲琴) = 259
2) 웅태태(熊太太) = 262
3) 가흥ᄉᆡᆼ(嘉興生) = 264

제2장 閒談消夏錄 卷二上, 卷二下 = 267
閒談消夏錄 卷二上 = 268
1) 반생뎐(潘生傳) = 268
2) 쥬규(周奎) = 271
3) 의견총(義犬塚) = 272
4) 쳑ᄌᆞ이(戚自詒) = 273
5) 가ᄉᆞ(可師) = 274
6) 강미(扛米) = 276
7) 무셕노인(無錫老人) = 276
8) 시금도(尸擒盜) = 278
9) 종진ᄉᆞ(鐘進士) = 280
10) 샤잔(蛇殘) = 282
11) 도반(賭飯) = 282

閒談消夏錄 卷二下 = 284
1) ᄋᆡᆼ홍(鶯紅) = 284
2) 하시녀(何氏女) = 287
3) 검협(劍俠) = 290
4) 오시(吳氏) = 292
5) 쇄글보ᄉᆞᆯ(鎖骨普薩)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