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1장 한국어 작문 과정 모형
1. 한국어 작문 과정 모형 개발의 필요성 = 15
2. 글쓰기 이론의 전개 과정 = 17
3. 반복 숙련 모형의 작동 원리 = 24
4. 각 단계별 쓰기 지식과 전략 = 31
5. 한국어 작문 모형의 성과와 남은 문제 = 42
2장 작문 과정의 각 단계별 전략
1. 작문 과정의 각 단계별 전략 연구의 필요성 = 49
2. 작문 과정의 각 단계별 전략 탐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 = 52
3. 작문 과정에 대한 사고 구술 실험 설계 = 60
4. 기존 모델의 수정과 ''(번역)작성'' 과정의 세부 요인 = 62
5. 작문 과정 전략 중심 교수법의 남은 과제 = 73
Tip 계획하기는 작문 상황과 필자 지식이 서로 협조하는 전략적 과정이다 = 77
3장 내ㆍ외국인의 작문 수정 전략 비교
1. 외국인 대상 대학〈기초 글쓰기〉수업 여건 = 85
2. 수정 과제 수행과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 = 90
3. 수정 과제 실험 방법 및 절차 = 94
4. 수행 평가 준거 설정 = 97
5. 유학생의 수정 과제 분석 결과 = 107
6.〈기초 글쓰기〉수업의 교수요목 차별화 방안 = 119
4장 중국인 학습자의 쓰기 표현 오류 분석
1. 중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의 필요성 = 127
2. 쓰기 문법 교육 관련 선행 연구 = 129
3. 중국인 학습자의 쓰기 능력 분석 = 130
4. 연구 결과 = 141
5. 국적별 쓰기 수행 능력 분석의 의의 = 148
Tip 직접 평가의 유형 = 154
5장 보고서 쓰기 수행 과제 개발
1. 수행 평가 과제 개발의 필요성 = 165
2. 선행 연구 검토 = 167
3. 쓰기 숙달도 평가를 위한 수행 과제 개발 = 169
4. 소 문항 과제 개발 과정 = 171
5. 쓰기 수행 평가 사례 분석 = 180
6. 쓰기 수행 과제 개발 연구의 의의 = 185
Tip 쓰기 피드백은 글의 말미에 문장으로 써 주자! = 199
6장 실제적 텍스트 중심의 교재 개발
1. 실제적 쓰기 교재 개발의 필요성 = 205
2. 중급 Ⅰ 쓰기 교재 구성의 원리 = 217
3. 중급 Ⅰ 쓰기 교재의 운용 사례 = 224
4. 실제적 쓰기 교재 개발의 의의 = 229
7장 대학 신입생 대상 쓰기 교수요목 개발 사례
1. 쓰기 교수요목 설계 방법 연구의 필요성 = 237
2.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설계의 원리 = 241
3.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 = 247
4. 대학 신입생 글쓰기 교육과정의 특징 = 248
5. 컬럼비아 대학교 글쓰기 교수요목의 적용 사례 = 250
6. 대학 신입생〈글쓰기〉교과목의 강사 양성 과정 = 269
7. 대학 신입생 글쓰기 교육과정의 목표 = 271
Tip T+1 과제 소개 = 292
8장 실제적 텍스트 중심의 쓰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
1.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의 실제성에 대한 요구 = 299
2. 실제적 텍스트 중심의 평가와 관련된 선행 연구 = 302
3. 국내외 평가 도구 분석 = 306
4. 쓰기 평가 문항 개발 = 337
5. 쓰기 평가 기준 개발 = 346
6. 쓰기 평가의 시행 결과 분석 = 349
7. 실제적 쓰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의 의의 = 352
Tip 서술식 채점 기준표의 구성 요소 = 366
9장 온라인 대중 공개강좌(MOOC) 한국어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형 쓰기 평가의 효용성
1. 학습자 참여형 쓰기 평가의 필요성 = 371
2. 한국어 쓰기 장르의 등급화 = 374
3. 쓰기 과제 평가 절차 구성 = 379
4. 쓰기 평가 준거 영역 및 항목 = 383
5. 학습자 참여형 쓰기 평가의 의의 = 389
10장 글로벌 평생교육을 위한 한국어 멀티모달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 탐색
1. 한국어 교육의 특수성 = 397
2. 사회구성주의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검토 = 400
3. 리터러시 간 인지 이해의 전이 가능성 탐색 = 402
4. 블렌디드 한국어교육용 콘텐츠의 실제 = 408
5. 멀티모달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의 가치 = 413
참고문헌 = 419
찾아보기 = 445
발표지면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