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 4
서론 = 9

제1부 일본 근대미술 형성과 他者像
1장 ''타자''로서 조선상의 출현 = 21
2장 유아사 이치로(湯淺一郞)의 조선 연작 = 33
1. 1913년 일본 서양화단의 동향 = 34
2. 조선 풍광의 발견 = 36
3장 츠치다 바쿠센(土田麥僊)의〈평상〉 = 45
1.〈평상〉의 제작 과정 = 47
2. 淸楚古雅의 미 = 53
3. 바쿠센과 帝展 = 57
4장 후지시마 다케지(藤島武二)의 조선체험과 장식화의 실현 = 65
1. 후지시마와 장식화 = 67
2.「조선관광소감」에 보이는 언설 : 일본의 과거로서 조선 = 69
3. 새로운 ''장식화''의 탄생 = 73
5장 타자 표상에서 일본적 유화로 : 후지시마 다케지의〈꽃바구니〉를 축으로 = 89
1. ''머리에 물건을 얹은 여성상''의 계보 = 91
2. 동서양의 절충 = 96
3. 조선연작과 일본적 유화 = 100
4. 또 다른 언설,〈獻花(金剛幻想)〉 = 104

제2부 표상의 공공성 : 일본 근대벽화의 전개와 조선
1장 일본 근대 벽화의 흐름 = 109
1. 1900∼1910년대 벽화 = 111
2. 도쿄 중앙정차장 벽화 = 122
3. 1920∼1930년대 벽화 = 127
2장 조선호텔 벽화 : 근대 ''명소''의 탄생 = 137
1. 벽화 개요 = 138
2. 朝鮮趣味와 명소의 탄생 = 145
3. 주제 선정과 철도사업 = 152
4. 환구단에서 조선호텔로 = 155
3장 성덕기념회화관 벽화〈일한합방〉: 사실에서 성덕으로 = 160
1. 성덕기념회화관 조성 과정 = 162
2.〈일한합방〉제작 과정 = 168
3. 성덕의 시각화 : 숭례문과 남산 = 173
4장 조선총독부 벽화 = 181
1. 주제선정과 內鮮一體 = 183
2. 일본 근대 벽화의 전개와 조선총독부 벽화 = 190
3. 도안가 와다산조(和田三造) = 193
결론 : 타자에서 자기 표상으로 = 199

부록
1. 조선방문 일본인 화가 목록 = 210
2. 조선방문 일본인 화가 약력 = 212
3. 일본인 화가의 조선 기행문 = 226

참고문헌 = 268
도판 출처 = 277
찾아보기 =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