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심력
제주방언 어말어미의 화행론︱강정희—‘-게’, -ㄴ게’ ‘-녜’를 중심으로 = 17
1. 서론 = 17
2. 어말어미 ‘-게’, ‘-ㄴ게’, ‘-녜’의 형태론적 분포와 의미 = 18
3. 어말어미 ‘-게’, ‘-ㄴ게’, ‘-녜’의 화행론 = 29
4. 결론 = 45

제주방언의 유기음과 경음의 형성 과정︱고동호—어중의 ʧh, th, k’, t’를 중심으로 = 49
1. 머리말 = 49
2. 유기음 = 51
3. 경음 = 65
4. 맺음말 = 72

다시 제주도 방언의 보존운동에 대하여︱고영진 = 77
1. 들어가는 말 = 77
2. 제주도 방언의 현황 = 79
3. 제주도 방언의 보존운동 = 83
4. 결론을 대신하여 = 99

제주 방언 단모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 연구︱신우봉 —50대 화자를 중심으로 = 105
1. 서론 = 105
2. 산출 실험 = 108
3. 지각 실험 = 120
4. 결론 = 129

방언 문법 형태 연구 방법︱우창현—제주방언 선어말어미 ‘-크-’를 중심으로 = 135
1. 서론 = 135
2. 선어말어미 의미 해석 원리 = 137
3. 선어말어미 의미 해석 원리의 타당성 = 143
4. 결론 = 149

웹과 어휘집: 한국어 제주 방언 어휘 연구의 과제와 전망︱치다 슌타로(千田俊太郞) = 153
1. 들어가는 말 = 153
2. 지금까지의 사전과 어휘집 = 154
3. 새로운 제주방언 어휘집 = 165
4. 맺는 말 = 167

한국어 제주 방언의 자연발화 텍스트︱김선미—옛날 음식 = 171
1. 들어가기 = 171
2. 텍스트 ‘옛날 음식’(파일 J0038_110821_KimP.M._1의 18분 13초~24분 15초) = 174


Ⅱ. 원심력
구상적 형태와 크기에서 인식양태와 동급비교의 부사격조사로 이르는 문법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최전승—전라방언에서 ‘맹이로/마니로/마냥으로’의 3부류 형성을 중심으로 = 199
1. 서론: 외형적 유사성 자질>비교표지 = 199
2. 구상적 형태 ‘본’(本)에서 동급비교 문법형태로의 전개 과정 = 203
3. 구상적 형태 ‘톄’(體)에서 동급비교 부사격조사로의 전개 = 221
4. 현대 전라방언에서 ‘맹이로’와 ‘맹이다’의 형성과정 = 232
5. 구상적 정도성(“크기”)에서 양태성 유사성으로: ‘만’ = 258
6. 결론과 논의 = 280

서남방언의 설명과 이야기의 시작 표지︱이기갑 = 295
1. 역행 대용어 = 295
2. ‘아니라’ 구문 = 304
3. 결론 = 321

≪丁巨算法≫에 반영된 元代 物價에 대하여︱서형국—≪朴通事≫의 성립 시기를 탐색하며 = 323
1. 서론 = 323
2. 서지 및 간행 경위 = 324
3. ≪丁巨算法≫의 체재와 내용 = 325
4. ≪朴通事≫와 ≪丁巨算法≫의 대조 = 334
5. 결론 = 340

정치 담화에 나타나는 ‘통속어’에 대한 언론의 담론 구축 양상 연구︱백승주
—대통령 발화를 중심으로 = 343
1. 들어가며 = 343
2. 통속어의 성격 = 345
3. 통속성의 발견: 노무현 대통령의 경우 = 349
4. 구어성의 발견: 박근혜 대통령의 경우 = 361
5. 결론 = 373

매체의 훈육 이데올로기 재현에 대한 비평적 담화 분석︱이정애—강백호 선수의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 379
1. 서론 = 379
2. 자료 수집 현황 = 382
3. 자료 분석 방법 = 383
4. 실제 분석 = 385
5. 결론 = 401


Ⅲ. 인접성
외지 출신 문인의 제주도 기행문︱정승철—1930년대 신문 연재물을 중심으로 = 407
1. 머리말 = 407
2. 이무영의 <꿈속의 나라 제주도를 찾아서>(1935) = 408
3. 이은상의 ≪탐라기행 한라산≫(1937) = 412
4. 정지용의 <다도해기>(1938) = 417
5. 맺음말 = 423

Eckardt 신부의 󰡔조선어교제문전󰡕(1923) <읽기자료>와 구전 설화 「한라산 신션 니야기」의 텍스트 형성과 그 변이에 대한 일고찰︱최전승 = 427
1. 서론: Eckardt의 한국학 연구 기점으로서 문법학습서와 설화 수집 = 427
2. 󰡔조선어교제문전󰡕(1923)에 반영된 20세기 초반 한국어의 구어와 다양성 = 437
3. Eckardt(1923)의 <읽기자료>와 Ridel(1881)의 <단계별 연습 강의>에 게재된 한국 민담 “한라산 신선 이야기”의 유연성 = 455
4. Ridel(1881)과 Eckardt(1923)에서 “한라산 신선 이야기”의 수용과 변이 = 471
5. 결론: <짜고 속여 망신주기> 유형에 속하는 仙人見欺說話의 아류 = 495

본풀이의 의례적 확장︱강정식—동복신굿을 실마리 삼아 = 505
1. 논의의 단서 = 505
2. 의례적 접근 필요한 까닭 = 507
3. 의례의 확대에 따른 본풀이의 대응 사례 = 510
4. 의례의 확대에 따른 본풀이의 대응 방향 = 519
5. 본풀이 확장으로 인한 혼란 걷어내기 = 528

제주도 구비문학 속의 여성, 연구자의 시각 들여다보기︱문순덕—설화, 민요, 속담을 중심으로 = 531
1. 서론 = 531
2. 설화에 대한 연구자의 시각 = 533
3. 민요에 대한 연구자의 시각 = 540
4. 속담에 대한 연구자의 시각 = 542
5. 결론 = 544

김지홍 교수의 연구 역정에 관한 간략한 지형도 그리기︱한창훈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