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해제(解題) = 15
1. 『무예도보통지』를 읽는 세 가지 시선 = 16
2. 무예의 변화와 『무예도보통지』의 구조 = 24


국역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권수 어제서·권수(御製序·卷首) = 39
어제서(御製序) = 40
무예도보통지 총목(武藝圖譜通志 總) = 45
범례(凡例) = 47
병기총서(兵技總敍) = 55
척소보모총병사실(戚少保茅總兵事實) = 84
기예질의(技藝質疑) = 87
인용서목(引用書目) = 99

권1 찌름을 위한 무예 ‘창’(武藝圖譜通志 卷之一) = 105
장창(長槍) = 106
죽장창(竹長槍) = 129
기창(旗槍) = 137
당파(??) = 148
기창(騎槍) = 160
낭선(狼?) = 168

권2 베기를 위한 무예 ‘칼’ 1(武藝圖譜通志 卷之二) = 179
쌍수도(雙手刀) = 180
예도(銳刀) = 194
왜검(倭劒) = 226
교전(交戰) = 257

권3 베기를 위한 무예 ‘칼’ 2(武藝圖譜通志 卷之三) = 271
제독검(提督劒) = 272
본국검(本國劒) = 284
쌍검(雙劍) = 298
마상쌍검(馬上雙劍) = 310
월도(月刀) = 316
마상월도(馬上月刀) = 330
협도(挾刀) = 339
등패(藤牌) = 352

권4 치기를 위한 무예와 마상기예(武藝圖譜通志 卷之四) = 367
권법(拳法) = 368
곤방(棍棒) = 393
편곤(鞭棍) = 415
마상편곤(馬上鞭棍) = 425
격구(擊毬) = 432
마상재(馬上才) = 448
관복도설(冠服圖說) = 460
고이표(考異表) = 466

별권 언해본에 대한 이해 = 475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의 기본적 이해 = 476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의 국어 음운학적 특성 = 480

부록 1 『무예도보통지』편찬 의미와 당대의 활용 = 484
1. 머리말 = 484
2. 『무예도보통지』의 편찬과 의미 = 487
3. 『무예도보통지』의 활용과 가치 = 500
4. 맺음말 = 510

부록 2 한국의 전통 무기 = 513
1. 전통시대 무기의 개념과 종류(냉병기 중심-화기 제외) = 513
2. 원사무기 1-일반 활류(각궁, 목궁, 죽궁, 철궁 등) = 517
3. 원사무기 2-기계식 쇠뇌류(궐장노, 수노기 등) = 521
4. 원사무기 3-화살류(목전, 철전, 편전, 유엽전 등-무과시험 연관) = 525
5. 원사무기 4-활 보조도구류(동개, 깍지, 완대, 촉돌이) = 531
6. 단병접전 무기 1-도검류 = 535
7. 단병접전 무기 2-창봉류 = 542
8. 단병접전 무기 3-타격기류 = 547
9. 의장용 무기-의장류(어도, 사인검, 운검, 군뢰, 신전, 영전, 관이전 등) = 550
10. 무기의 발전과 전술 변화의 연관성 = 555

참고문헌 = 559
찾아보기 = 565
영인본 = 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