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글 = 4
일러두기 = 12

프롤로그 몸의 길, 구전에서 기록으로 = 17
왜 《권법 바이블》인가 | 몸의 길을 문서화하다 | 비밀의 문, 그 빗장을 열다│신화를 넘어서│《기효신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고전 무예로 들어가는 길

Part 1 권법 매뉴얼 =
무예사의 새 장을 연 최고(最古)의 매뉴얼: 《기효신서》

Chapter 1 구전의 문서화: 무예서 편찬 = 45
최고(最古)의 권법 매뉴얼│척계광과 그의 시대│《손자》 VS 《기효신서》

Chapter 2 무예 교류: 시공을 초월한 무예 = 65
백가쟁명(百家爭鳴)│다양한 권법 문파에 대한 척계광의 견해 | 온가권과 척계광의 권경 32세│ 군대로 유입된 민간 무술│여러 문파의 권법을 함께 익힘: 겸이습지(兼而習之)

Chapter 3 표준화: 도(圖)와 가결(歌訣), 그리고 비교 = 93
두 종류의 《기효신서》│ 《기효신서》는 언제 처음 편찬되었는가 |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기효신서》 | 18권 본과 14권 본 《기효신서》에 수록된 무예는 차이가 있다 | 권법의 딜레마 | 그림[圖]과 가결(歌訣)로 표현된 최초의 권법 기록 | 권법은 모든 무예의 기초 | 권법, 왜 상반신을 벗고 행하는가 | 《기효신서》와 기타 문헌의 권법 32세 | 권법 32세는 하나의 투로가 아니다 │ 정법(正法)과 화법(花法)

Chapter 4 번역에 대하여: 옮김의 미학 = 143
기존 《기효신서》''권경첩요편'' 번역 검토 | ''권경첩요편''의 가결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 완전번역을 향하여

Part 2 ''권경첩요편'' 역주
현재를 읽기 위한 능동적 과거 해석

Chapter 5 ''권경첩요'' 번역 = 171
번역에 사용된 저본│''권경첩요편'' 역주 │ 권법32세의 해석

결론
영문초록

부록
부록1. 권법 세 명의 우리말 번역 및 기술 특징 = 308
부록2. ''권경첩요''편 영인 = 311
융경본 《기효신서》= 316
《삼재도회》본
조선본 《기효신서》= 321
학진탐원본 《기효신서》= 325

참고문헌 = 329
집필후기 = 342
색인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