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열면서 = 8

<제1부 조선조 서예미학 입론>

|제1장| 조선조 서론(書論)에 나타난 심화(心畵)로서 서예인식 = 23
들어가는 말|‘심화(心畵)’로 이해한 사유에 담긴 서예인식|‘서예’라는 용어 사용에 따른 서예인식|나오는 글

|제2장| 조선조 서론(書論)에 나타난 이기론(理氣論)적 서예인식 = 47
들어가는 말|이기론 차원의 서예인식|이기심성론과 영자팔법(永字八法)|나오는 말

|제3장| 서예비평에 나타난 서예인식 = 73
들어가는 말|서론과 철학의 상관관계|‘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 군자예술로서의 서예|학문을 기준으로 한 서예가 평가|정파(政派) 및 학파(學派)를 통한 서예비평 경향|나오는 말

<제2부 주자학과 서예미학>

|제4장| 퇴계(退溪) 이황(李滉): 이발지경(理發持敬) 지향의 서예인식 = 131
들어가는 말|이황의 서예인식과 서가비평|경(敬)과 이발중시(理發重視)적 서예정신|정주(程朱) 서예론 추종과 ‘경(敬)’ 중시 사유|심성도야와 서여기인(書如其人)적 서예정신|나오는 말

|제5장| 퇴계(退溪) 이황(李滉): 심화(心畵)로서의 서예인식과 기상론(氣象論) = 181
들어가는 말|‘기상론’과 필의(筆意)에 담긴 서예의 ‘소이연(所以然)’ 중시|‘심화(心畵)’로서의 서예인식과 ‘기상론(氣象論)’|나오는 말

|제6장| 옥동(玉洞) 이서(李漵): 『필결(筆訣)』과 역리(易理) 차원의 서예이해 = 193
들어가는 말|「혼원분판생획도(混圓分判生劃圖)」에 대한 역리(易理)적 분석|태극음양론(太極陰陽論)과 ‘서(書)’의 기본원리|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과 획(劃)|하도낙서(河圖洛書)와 서(書)|원(元)ㆍ형(亨)ㆍ이(利)ㆍ정(貞)과 서(書)의 상관관계|수시변역(隨時變易)의 역리(易理)적 사유와 동국진체(東國眞體)|나오는 말

|제7장| 옥동(玉洞) 이서(李漵): 중정서통(中正書統) 지향의 서예미학 = 249
들어가는 말|심화(心畵)로서의 서예(書藝)와 중화(中和)중심주의|의경론(誠敬論)과 중화중심주의|중정론(中正論)과 중화중심주의|나오는 말

|제8장| 옥동(玉洞) 이서(李漵): 이단관(異端觀)과 음양론적 서예인식 = 279
들어가는 말|이서의 노불(老佛) 비판 및 이단관|음양론적 이단관과 서예인식|서론에 나타난 이단관과 서예인식|나오는 말

|제9장|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 이존이발(理存理發) 지향의 서예미학 = 301
들어가는 말|퇴계 이황 존숭과 벽이단(闢異端)의식|‘심화(心畵)’로서의 서예와 이존(理存) 지향 서예인식|탈왕희지(脫王羲之) 중심주의적 서가비평|나오는 말

|제10장| 정조(正祖) 이산(李祘): 진기반정(眞氣反正) 지향의 서예미학 = 331
들어가는 말|동양문화에서의 어필(御筆)이 갖는 의미|정조의 주자학 숭상의 문예적 의미|심화(心畵)로서의 서예인식|‘육녕육무설(六寧六毋說)’과 순정(醇正) 미학|진기(眞氣)와 촉체(蜀體) 중시의 서체반정(書體反正)|안평대군 이용(李瑢) 복관(復官)과 송설체(松雪體) 숭상|나오는 말

|제11장| 유재(裕齋) 송기면(宋基冕): 구체신용(舊體新用) 지향의 서예미학 = 389
들어가는 말|구체신용(舊體新用)과 경세론(經世論)|「필부(筆賦)」에 나타난 서예론|「필부(筆賦)」에 나타난 서예창작 기법|나오는 말

|제12장|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군자예술 지향의 서예인식과 구별 짓기 = 429
들어가는 말|김정희 서예론을 이해하는 기본시각|‘군자예술’로서의 서예인식과 구별 짓기|유가 격물치지(格物致知) 학문 차원의 예술관|‘사란(寫蘭)’에 담긴 ‘무자기(毋自欺)’의 예술정신|‘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와 사기(士氣) 강조|서법(書法)ㆍ시품(詩品)ㆍ화수(畵髓) 묘경의 동일성|나오는 말

|제13장|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동국진체(東國眞體) 서예가 비판과 변명 = 497
들어가는 말|한ㆍ중서예사에 나타난 왕희지 위상과 동국진체|김정희의 서예비평정신과 동국진체 비판|동국진체 서예가들을 위한 변명|나오는 말

<제3부 양명학ㆍ노장학과 서예미학>

|제14장| 백하(白下) 윤순(尹淳): 외주내양(外朱內陽) 지향의 서예미학 = 531
들어가는 말|윤순 ‘시체(時體)’ 서풍에 대한 평의 양면성|윤순의 서예인식과 이단관(異端觀)|문질론(文質論)과 ‘시체(時體)’의 특징|나오는 말

|제15장|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심득신행(心得身行) 지향의 주체적 서예정신 = 563
들어가는 말|서예역정과 ‘학귀심득신행(學貴心得身行)’ 서예정신|이광사의 광기(狂氣) 서풍과 후대 평가|나오는 말

|제16장|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연정기도(緣情棄道)’ 서풍 비판과 추전(推展) 서풍 = 583
들어가는 말|‘연정기도(緣情棄道)’ 비판에 나타난 ‘연정’의 의미|‘연정기도(緣情棄道)’ 서풍 비판의 함의|‘활물(活物)’로서 서예인식과 만호제력(萬毫齊力)을 통한 추전 서풍 모색|나오는 말

|제17장|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광견(狂狷)서풍 지향과 행운유수체(行雲流水體) = 627
들어가는 말|이광사 서풍 숭상과 광견서풍|도연명(陶淵明) 사랑과 포박함진(抱樸含眞) 정신|일운무적(逸韻無跡) 지향과 행운유수체|나오는 말

|제18장|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우졸통령(愚拙通靈) 지향의 서예미학 = 655
들어가는 말|체도(體道)로서의 우(愚)|대교약졸(大巧若拙)로서 유수체(流水體)의 졸박미(拙樸美)|무법(無法)과 통령(通靈) 지향의 서예정신|나오는 말

|보론| 양명학ㆍ노장학을 통한 한국서예 정체성 모색 = 679
들어가는 말|한중서예사에서의 왕희지 추앙 경향|조선조 왕희지 중심주의에 나타난 서가비평|한국서예 정체성 탐구를 위한 한 예시|나오는 말


책을 마치며 = 714
『필결』 원문ㆍ참고문헌ㆍ주ㆍ찾아보기 = 727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 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