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1장 조선영화산업의 형성과 식민성 = 13

제2장 극장의 설립 = 23
제1절 일본에 의한 개항
제2절 최초의 극장 인부좌
제3절 개항장의 일본인 극장

제3장 한성의 극장들 = 35
제1절 한성 개시
제2절 조선인 극장
제3절 일본인 극장

제4장 극장문화와 흥행산업의 형성 = 61
제1절 관객의 탄생
제2절 연희의 개량
제3절 흥행 산업의 형성
제4절 일본식 극장문화의 유입

제5장 영화흥행업의 시작 = 79
제1절 영화의 전래
제2절 필름의 유입경로와 상영방식
제3절 식민지 흥행산업으로의 재편

제6장 경성고등연예관 = 99
제1절 경성고등연예관의 설립주체
제2절 필름의 배급과 프로그램의 교체 주기
제3절 활동사진 및 환등제작
제4절 경성고등연예관의 폐관

제7장 대정관과 닛다연예부 = 125
제1절 대정관의 설립
제2절 제2대정관과 세계관
제3절 닛다연예부
제4절 운영주체의 변화

제8장 황금관과 키네마칼라 = 141
제1절 황금관의 설립
제2절 하야가와연예부
제3절 키네마칼라의 상영
제4절 필름가격의 폭등과 키네마칼라의 쇠퇴

제9장 조선인 상설관 우미관 = 159
제1절 우미관의 설립
제2절 유니버설의 연속영화
제3절 조선의 인기 변사 서상호

제10장 하야가와연예부의 유락관 경영 = 173
제1절 유락관의 설립
제2절 다무라와 하야가와의 소송사태
제3절 유락관, 대정관, 황금관의 경쟁
제4절 조선배경의 영화 제작과 유락관의 매각

제11장 조선영화산업의 식민지화 = 193
제1절 일본영화산업에 종속된 조선영화산업
제2절 일본 메이저 영화사의 경성 진출
제3절 조선영화 제작 토대의 부실

제12장 활동사진 변사 = 209
제1절 변사의 등장
제2절 경성고등연예관의 변사연행
제3절 언어에 따른 극장분화와 변사연행의 변화

제13장 연쇄극의 유입과 정착 = 225
제1절 조선에서 연쇄극의 유입과 상연
제2절 연쇄극의 두 가지 형태
제3절 연쇄극의 토착화

제14장 단성사와 연쇄극 = 249
제1절 활동사진 상설관 단성사
제2절 연쇄극의 유행과 <의리적 구토>
제3절 임성구와 김도산

제15장 조선영화의 제작 = 265
제1절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산업의 변화
제2절 영화제작의 시작과 조선영화
제3절 조선영화의 식민지적 특성

제16장 최초의 카메라맨 이필우 = 291
제1절 영화계 입문과 일본에서의 활동
제2절 연쇄극 <지기>의 촬영 전후
제3절 1923년 귀국 후 활동

∙맺음말 = 311

∙[부록 1] <巡回活動 「愛の極み」 劇 撮影終了す>, 《京城日報》, 1922.3.21.(원문) = 313
∙[부록 2] <本社フィルム 死の輝き 梗槪>, 《京城日報》, 1922.9.9.(원문) = 321

∙참고문헌 = 325
∙색인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