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투쟁과 창조의 조선학교사
제1절 문제제기-조선학교 교육사의 부재 = 1
제2절 선행연구와 과제 = 4
(1) 조선학교사연구의 성과와 한계 -탈식민화에 대한 교육사로서 조선학교사 억압과 저항이라는 싸움 = 4
(2) 교육의 반성성(反省性)이라는 궤적으로서 교육사 = 12
(3) 이 책의 과제 = 16
제3절 대상과 방법 = 19
(1) 조선학교라는 것은 = 19
(2) 1950~1960년대의 자리매김―조선학교 교육의 기본형 성립기 = 23
(3) 역사자료 = 25
제4절 구성 = 28

제1장 탄생과 파괴
제1절 초창기의 교육 = 31
(1) 조선학교의 시작 = 31
(2) 학교체계의 구축 = 37
제2절 조선학교의 폐쇄 = 46
(1) 1948년 학교폐쇄조치와 4.24 교육투쟁 = 46
(2) 1949년의 학교폐쇄조치와 재일조선인의 저항 = 49
제3절 멈추지 않는 걸음 = 58
(1) 취학의무제의 폐지 = 58
(2) 다양한 형태의 민족교육 실시 = 62
(3)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의 결성 = 65

제2장 본국 교육의 이식
제1절 학교체계의 재구축 = 73
(1)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의 결성 = 74
(2) 교육원조비와 장학금 = 75
(3) 귀국의 실현 = 78
(4) 교원양성대책 = 84
제2절 교육의 재편 = 97
(1) 본국교과서의 번각사용 = 97
(2) 학교규정의 제정 = 101
(3) 3대 중점과업의 설정 = 105

제3장 모순의 발현
제1절 기초생산기술교육의 이식과 실천 = 110
(1) 조국건설을 위하여 = 110
(2) 열악한 교육환경과 교원들의 노력 = 111
(3) 기본생산기술교육의 실제 = 115
제2절 바라보던 미래 = 123

제4장 교과서의 창조
제1절 본국 교과서의 한계 = 131
제2절 1963년 신판 교과서 - ‘창조적인 적용’의 내실 = 139
(1) 재일조선인의 시점, 생활의 도입 = 140
(2) 한자표기의 재개 = 143
(3) 일본사회와 자연의 반영 = 145
제3절 교과서 내용의 사회적 규정 = 159
(1) ‘우리’라는 것은 누구인가 – 조국과 재일조선인 = 159
(2) ‘약한 표현’의 채택 – 일본 사회의 평가 = 163
(3) 냉전·분단 이데올로기의 지속 = 167

제5장 생겨나는 말들
제1절 국어상용이라는 대응 = 175
(1) 이중언어환경과 교원들의 실력 = 175
(2) 국어를 말하게 하는 어려움 = 181
(3) ‘이상한 국어’ = 187
제2절 높아가는 ‘올바른 국어’ 습득의 기운 = 189
제3절 탈식민화의 양태-목표로 한 정화, 만들어진 아종 = 196
(1) 생성되고 이어지는 재일조선어 = 196
(2) ‘올바른 국어’의 습득을 목표로 = 203

제6장 조선학교 내 생활철방
제1절 교육관계자의 참여와 생활철방의 도입[輸入] = 212
제2절 도립조선인고등학교 ��새싹문집��(1952년) = 217
제3절 아이들에게 있어서의 탈식민화 = 220
(1) 조선어로 ‘그대로 쓰기’의 의미 = 220
(2) ‘해방’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 223

제7장 조선에 대한 자긍심
제1절 애국전통의 학습 = 232
제2절 조선사람답게 살아가는 방법을 추구 = 236
(1) 일본식 이름의 개명 – 가정의 논리와 충돌 = 237
(2) 치마저고리 교복의 착용 – 아이들의 주체성 = 240
제3절 조선인으로서의 경험 = 245
(1) 풍경 = 246
(2) 노래 = 254
(3) 휴교일 = 258
(4) 운동 = 261

제8장 명멸하는 재일조선인의 역사
제1절 재일조선인으로서 공통의 기억 = 266
제2절 ‘61년 8월 강의’ 문제 = 273
(1) ‘재일조선인 운동사’ 강의 실시 = 276
(2) 야기된 혼란 = 283
(3) 재일조선인 운동사의 부정 = 285
제3절 재일조선인사에 대한 희구 = 291
(1) 재일조선인사의 부재 = 291
(2) 발굴·정리·활용·접속 = 293

제9장 공교육의 경계선
제1절 공립조선학교라는 물음 = 299
제2절 나고야시립조선학교의 설립·존속·폐지 = 304
(1) 잠정적 조치로서의 설립 = 304
(2) 공립학교에서의 민족교육 모색 = 308
(3) 지역 내의 관계성 = 316
(4) 민족교육의 강화와 공립학교의 정상화 -‘비정상’에서 ‘불법’으로 = 320
제3절 지역적인 공공성 = 325

제10장 정치적 문제로서의 법적 지위
제1절 일본정부 및 문부성의 입장 = 336
(1) 학교폐쇄조치 이후의 조선학교의 법적지위 = 336
(2) 각종학교인가의 양가성 = 338
제2절 무인가교로 보조금 교부 – 욧카이치시(四日市)의 논리 = 344
제3절 각종학교인가를 둘러싼 미에현(三重県)의 대응 = 351
(1) 문부성 방침의 관철 = 352
(2) 인가 문제에 관한 정치적 판단 = 361

종장 조선학교의 교육사가 묻고 있는 것
제1절 조선학교에 있어서 탈식민화 = 375
제2절 전후 일본교육사에 있어서 조선학교 교육사 = 381
제3절 동아시아에서 탈식민화와 교육의 비교사를 위하여 = 387

역사자료 및 참고문헌 = 392
나가면서 = 411
인명색인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