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원활한 대화를 위한 문장의 기본 = 15
각자 말하는 대화 지옥 : 다름을 인정하기 = 17
누구에게 말하는가 : 타깃을 분명하게 = 22
나는 유감이 유감스럽다 : 어휘력이 필요한 이유 = 27
그래서 말하고 싶은 내용이? : 메시지 챙기기 = 32
내가 놓친 무언가가 있다 : 앞뒤 맥락 살피기 = 38
대화 나르시시즘의 독 : 말 끊는 습관 없애기 = 44
선을 넘는 그들에게 : 온라인 문장 예절 = 49
#습관들이기날렵하게 문장 다이어트 = 54

2장. 강력한 힘이 되는 문장의 활용 = 59
긍정의 문장이 긍정적인 첫인상을 만든다 = 61
‘일잘러’의 문장은 이것이 다르다 = 66
유머는 언제나 호감을 준다 = 71
내향인에게 더욱 힘이 되는 온라인 글쓰기 = 79
정갈하게 표현할수록 관계는 단단해진다 = 84
정돈된 문장으로 머릿속을 정리하다 = 89
#습관들이기문장에 생동감 불어넣기 = 93

3장. 주고받는 문장을 깔끔하게 = 97
이게 말이야, 글이야 : 지금은 말글 시대 = 99
마음을 얻는 첫 만남 : 호감 주는 인사와 자기소개 = 104
모호한 대답은 금물 : 오해 예방법 = 108
win-win하는 대화의 비밀 : 제대로 질문하기 = 112
소통은 타이밍이다 : 끝까지 듣고 반응하기 = 118
1:1과 그룹 채팅의 운영 팁 : 무엇이 같고 다른가 = 122
''무슨 말이야ㅠㅠ'' 듣지 않으려면 : 불필요한 정보 빼기 = 127
기분 나쁘지 않게 대화를 끝내려면 : 3단계 거절법 = 135
#습관들이기교정볼 땐 내 눈부터 ‘새로 고침’ = 139

4장. 내가 쓰는 문장을 세련되게 = 145
읽는 사람은 아무것도 모른다 : 서평과 에세이의 기본 = 147
이메일만 봐도 일머리가 보인다 : 명확한 이메일 소통법 = 151
드림과 올림, 무엇을 써야 할까? : ''을''의 메시지 전달법 = 157
인스타그램 문장은 분명 다르다 : 호기심을 끄는 SNS 문법 = 161
1초 만에 지워도 누군가는 읽는다 : SNS 글쓰기 주의사항 = 167
관계를 좋게 만드는 댓글 센스 : 맞춤형 댓글 달기 = 172
플랫폼에 따라 달라야 한다 : 제목 변주하기 = 178
#습관들이기작은 뉘앙스에도 예민한 ‘프로 불편러’가 되라 = 182

5장. 정갈한 문장을 위한 평소 습관 = 187
형식을 무시하는 사람이 무시당한다 = 189
문장이 한결 돋보이는 문장부호 사용법 = 193
소통의 적, 허세와 기름기 걷어내기 = 199
빠른 대답을 원하면 대상을 지명하라 = 204
묘사는 구체적일수록 좋다 = 208
말하듯 글 쓰고 글 쓰듯 말하라 = 212
불편한 주제는 6단계로 대화하기 = 216
''생각 안 나'' 대신 끝까지 찾아내기 = 222

에필로그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