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문 = 9
제一장 《역주 삼국사기》 오역 예해 = 13
제二장 《역주 목민심서》 오역 예해 = 35
제1장과 제2장의 총결 = 52
제三장 ‘嘗(曾)’의 오역 = 61
一 《역주 삼국사기》 ‘嘗’의 오역(Ⅰ) = 65
二 《역주 삼국사기》 ‘曾’의 오역(Ⅱ) = 69
三 《역주 목민심서》 ‘嘗’의 오역(Ⅲ) = 70
四 《역주 목민심서》 ‘曾’의 오역(Ⅳ) = 75
五 총 결 = 79
1 ‘일찍이’가 ‘嘗(曾)’의 공분모로 될 수 없다 = 80
2 의문문 ‘嘗(曾)’은 ‘일찍이’로 번역하기 불편하다 = 81
3 부정문 ‘未嘗’은 ‘일찍이’로 번역하지 않았다(Ⅴ) = 82
4 ‘嘗’에 ‘일찍이’라는 뜻이 없다는 유력한 증거 = 84
5 ‘嘗’에 대한 사전의 해석은 ‘일찍이’가 아니다 = 85
6 ‘일찍이’는 ‘嘗’이 아닌 다른 단어로 표현하였다 = 86
제四장 ‘相, 有, 一’의 오역 = 93
一 ‘相’의 오역 = 94
1 《역주 삼국사기》 ‘相’의 오역 = 96
2 《역주 목민심서》 ‘相’의 오역 = 98
二 ‘有’의 오역 = 101
1 《역주 삼국사기》 ‘有’의 오역 = 102
2 《역주 목민심서》 ‘有’의 오역 = 104
3 북역 《삼국유사》 ‘有’의 오역 = 105
三 ‘一’의 오역 = 110
1 《역주 삼국사기》 ‘一’의 오역 = 111
2 《역주 목민심서》 ‘一’의 오역 = 111
3 ‘一’과 ‘一番’ = 119
제五장 ‘퇴색어’의 오역 = 123
一 퇴색어 ‘將’의 오역 = 127
1 《역주 삼국사기》 퇴색어 ‘將’의 오역 = 128
2 《역주 목민심서》 퇴색어 ‘將’의 오역 = 131
3 총 결 = 139
二 퇴색어 ‘旣’의 오역 = 143
1 《역주 삼국사기》 퇴색어 ‘旣’의 오역 = 143
2 《역주 목민심서》 퇴색어 ‘旣’의 오역 = 148
3 총 결 = 158
三 퇴색어 ‘勢’의 오역 = 164
1 《역주 삼국사기》 퇴색어 ‘勢’의 오역 = 165
2 《역주 목민심서》 퇴색어 ‘勢’의 오역 = 166
3 북역 《삼국유사》 퇴색어 ‘勢’의 오역 = 170
제六장 표점부호의 오류 = 171
一 의미상 오해의 소지가 있는 오류 = 173
1 《역주 삼국사기》의 오류 = 173
2 《역주 목민심서》의 오류 = 175
二 의미상 오해의 소지가 없는 오류 = 179
1 《역주 삼국사기》의 오류 = 179
2 《역주 목민심서》의 오류 = 179
3 《虛白堂集》의 오류 = 182
4 《承政院日記》의 오류 = 183
5 총 결 = 187
제七장 반점 [,]에 관하여 = 191
一 단문 사이는 반점을 찍어야 한다 = 193
二 단문 안에도 반점을 찍을 수 있다 = 195
1 《虚白堂集》 = 196
2 《承政院日记》= 205
三 단문 안의 반점을 적당히 찍자 = 211
1 술어로 충당되지 않은 용언 = 212
2 음절 수가 너무 적은 용언 = 213
3 ‘者’ 자 구조者字結構 = 214
4 ‘之’ 자 구조之字結構 = 215
5 개빈구조介賓構造 = 215
6 겸어구조兼語結構 = 216
7 연동구조連動構造 = 217
8 포잉구조包孕構造 = 217
제八장 한문을 잘 배우려면 먼저 중국어를 배워라 = 225
一 한자음은 중국 음에 비해 의미식별의 기능이 약하다 = 227
二 언어의 물질적 존재는 어음이지 문자가 아니다 = 237
三 결국은 먼저 중국어를 배워라 = 242
부록 1: 중국어의 음절 수 = 247
부록 2: 한자어의 음절 수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