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정조와 그의 시대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창, 궁중회화

I 정조대 궁중화원제도의 변화

1장 도화서와 차비대령화원
1. 정조 이전의 화원제도 변천과 정조의 도화서 개혁
1) 조선 초기의 변화
2) 성종대의 변화: 도화원에서 도화서로
3) 숙종과 영조의 화원정책
4) 정조의 도화서 개혁
5) 정조의 도화서 개혁의 의미와 한계
2. 정조대 도화서와 차비대령화원제의 비교
1) 소속과 직제
2) 급여
3) 녹취재
4) 화원 의절

2장 정조대 차비대령화원의 업무와 운영
1. 차비대령화원의 업무
1) 차비대령화원의 고유 업무
(1) 어제 인찰
(2) 어필 비문의 조성: 전흥과 탁본
(3) 규장각 도서의 인찰과 도설 작업
2) 차비대령화원과 일반 화원의 공동업무
(1) 도감 사역
(2) 어진 제작
2. 차비대령화원의 세대 분석
1) 정조대 이전의 ‘차비대령화원’
2) 원차비대령(1776~1783년 차정)
3) 초대 차비대령화원(1783년 차정)
4) 제1차 추가된 차비대령화원(1787~1791년 차정)
5) 제2차 추가된 차비대령화원(1794~1796년 차정)
3. 차비대령화원제도의 실상과 한계

II 어진과 신하 초상의 제작

3장 어진의 제작과 진전의 운영
1. 정조 이전의 전통: 숙종·영조 연간을 중심으로
1) 외방 진전
2) 한양의 진전: 영희전과 선원전
3) 어진 제작과 진전제도의 변화
2. 영조 어진의 처리와 모사
1) 어진의 봉안과 진전 정비
2) 영조 어진의 모사 시도
3. 정조 어진의 제작과 봉안
1) 규장각: 어진의 제작·관리 기관
2) 정조 어진의 형식과 의미
3) 어진 제작 과정에서의 논의
4) 어진 관계 의례의 제정과 정비
5) 정조의 어진 봉안: 규장각, 경모궁, 현륭원

4장 신하 초상의 열람과 제작
1. 정조의 어진 도사 시 제작된 신하 초상
2. 정조가 하사한 신하 초상과 화상찬: 덴리대학 도서관 소장 《초상화첩》
1) 초상화첩의 어제 분석
2) 어제 하사의 경위와 의도
3) 초상화의 양식 분석
4) 《초상화첩》의 성격

III 사적도를 통한 왕실 행적의 역사화

5장 정조의 단종사적 정비와 《월중도》
1. 《월중도》의 내용과 제작 시기
2. 정조의 단종 유적 정비와 《월중도》: 기억의 재건
3. 『장릉사보』와 《월중도》: 기록과 재현을 통한 공식화
4. 추모의 정치학과 《월중도》

6장 정조의 사도세자 추숭 작업과 사적도
1. 왕실 사적 전통과 경모궁·현륭원 의궤도설
1) 사도세자의 사당, 경모궁의 재현
2) 사도세자의 무덤, 현륭원의 재현
2. 다른 전통의 시작과 사도세자의 〈장조태봉도〉
3. 기억의 수집을 통한 사적의 발명과 〈영괴대도〉

IV 궁중 계병을 통한 세자의 위상 강화

7장 문효세자 탄생과 사도세자 존호 추상: 《진하도》(1783)
1. 1783년 사도세자의 존호 추상과 진하례
2. 진하례의 의례와 재현
3. 관아 배경의 의미
4. 제작과 분급 방식

8장 문효세자의 원자 추대: 《문효세자보양청계병》(1784)
1. 문효세자 탄생 시 정국 동향
2. 원자 보양관의 임명과 상견례의 진행
3. 서문과 연시를 통해 본 제작 동기
4. 보양관 상견례의 의례와 재현: 사제관계에서 군신관계로
5. 배경 공간의 상징성: 왕실과 백성에까지 미치다

9장 문효세자의 책봉: 《문효세자책례계병》(1784)
1. 정조대 시강원 위상 강화
2. 좌목과 제작 주체 분석
3. 〈인정전선책도〉와 선책의
4. 〈중희당수책도〉와 수책의
10장 세자궁의 친림도정: 《을사친정계병》(1785)
1. 정조 이전의 친정도 전통
2. 정조대 인사제도의 변화
3. 좌목과 제작 주체 분석
4. 행례 장면과 친림도정
5. 창덕궁 중희당과 세자

V 《화성원행도병》을 통한 화성 행차의 시각화

11장 《화성원행도병》의 제작과 분급
1. 《화성원행도병》의 명칭
2. 제작 기관과 화원
3. 분급과 수용
4. 《화성원행도병》 이본 비교
12장 《화성원행도병》의 내용과 의미
1. 전체 구성과 의미
2. 연향도 전통과 혁신: 〈봉수당진찬도〉와 〈낙남헌양로연도〉
1) 〈봉수당진찬도〉와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
2) 〈낙남헌양로연도〉와 화성에서 베푼 양로연
3. 문풍의 존숭과 진작: 〈화성성묘전배도〉와 〈낙남헌방방도〉
1) 〈화성성묘전배도〉와 공자 성묘 전배
2) 〈낙남헌방방도〉와 화성 인재 등용
4. 군대를 통한 훈련과 통합: 〈서장대야조도〉와 〈득중정어사도〉
1) 〈서장대야조도〉와 화성 성역에서의 군사훈련
2) 〈득중정어사도〉와 어사례와 불꽃놀이로 마무리한 원행의 의미
5. 백성을 위한 행차: 〈환어행렬도〉와 〈한강주교환어도〉
1) 〈환어행렬도〉와 어가 행렬의 상징성
2) 〈한강주교환어도〉와 경세치용의 시각화

에필로그 궁중회화를 통해 이루어낸 국정 운영의 시각화

부록
표 1. 1783년 11월부터 1800년 5월까지 편찬된 의궤에 기록된 화원 명단
표 2. 숙종~정조 연간 현왕(現王) 어진에 대한 의례와 출처
표 3. 단종 관련 서적 편찬
표 4.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복권과 상존호

본문의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