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일러두기 = 1
·표차례 = 8
·그림차례 = 10
·들어가기에 앞서 = 13
서장
제1절 수신서 바로알기와 이해 = 19
제2절 수신서의 구성과 내용 = 25
제3절 수신서의 탐구들 = 26
제4절 범위와 특징 = 28
제Ⅰ부 한국근대 국정교과서와 수신서
제1장 국정교과서와 교육양상 = 39
제1절 한국근대 국정교과서 제도와 정책 = 39
제2절 국어독본과 일본어 교육 = 48
제3절 국사교과서와 종속적 역사관 = 63
제4절 지리교과서와 동아시아 지배인식 = 76
제5절 창가(음악)교과서와 일본주의 정신 찬양 = 88
제6절 수신교과서와 신민화 교육 = 104
제2장 조선총독부수신서의 생활덕목 분석과 특징 = 119
제1절 개인생활 = 120
제2절 가정생활 = 124
제3절 학교생활 = 128
제4절 사회생활 = 132
제5절 국가생활 = 135
제6절 천황주의 = 140
제7절 '좋은 일본인'적 식민지아동 = 144
제Ⅱ부 조선총독부수신서의 지배교육
제1장 일제의 근대화론 = 151
제1절 한국의 근대성 = 153
제2절 식민지근대론과 수신서 = 154
2-1. 시간을 통한 규율과 통제 = 154
2-2. 공간의 확장과 지배 = 159
2-3. 의식의 근대화 = 165
제3절 식민지발전론과 수신서 = 172
3-1. 국가·정치적발전론 = 172
3-2. 경제적발전론 = 175
3-3. 문화·교육적발전론 = 180
제2장 동화정책과 수신교육 = 193
제1절 동화정책의 형성과정 = 195
1-1. 탈아론 = 195
1-2. 정한론 = 198
1-3. 대동합방론 = 201
제2절 수신서와 동화청책 = 201
2-1. 일선동조론·동문동조론 = 201
2-2. 일시동인·내지연장주의·내선융화 = 206
2-3. 내선일체 = 210
제3절 삽화에 나타난 동화정책 양상 = 215
제3장 황민화교육과 지배교육 = 225
제1절 국민학교 시대와 황민화교육 = 226
제2절 황민화정책과 교육 = 228
2-1.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 228
2-2. 징병제와 근로동원 = 234
2-3. 국어(일본어) 보급과 조선어 말살 = 241
제3절 황국신민육성과 수신교육 = 244
제4장 실업교육과 근로제일주의 = 255
제1절 실업교육정책과 수신교과서 = 256
제2절 실업교육과 수신서 = 261
2-1. 식민지문명론과 근대론으로서 실업교육 = 261
2-2. 산업운동과 실업교육 = 263
2-3. 납세의무와 국민의식 = 268
2-4. 근면·근로와 저축의 실체 = 272
2-5. 노동력착취의 근로주의 = 276
제3절 실업과 식민성 교육 = 281
제5장 천황숭배사상과 지배교육 = 293
제1절 칙어와 조서를 통한 지배교육 = 294
제2절 천황숭배와 사상교화 = 301
2-1. 국체론의 주체 = 301
2-2. 신화·신적인 절대자 = 301
2-3. 인정(仁政) 정치의 전형 = 307
2-4. 군통수권자 =310
제3절 기수별 천황숭배사상의 변화와 수신교육 = 312
제6장 식민지아동의 식민성과 국민성 = 319
제1절 식민지아동에 기호화된 '좋은 일본인' 명칭 = 319
제2절 식민지아동의 사고(思考)와 행동형태 = 324
2-1. 계급성과 예속성 = 324
2-2. 규율성과 순종성 = 326
2-3. 맹목성과 극단성 = 330
2-4. 근로성과 성실·책임성 = 332
2-5. 청결성과 열등성 = 334
제3절 식민지아동의 식민성과 사회관 = 337
3-1. 봉건성과 가족관 = 337
3-2. 민족성과 반민족성 그리고 반항성 = 338
3-3. 일방성·호전성·패권성 = 341
3-4. 식민지근대론과 패배관 = 343
제4절 식민지아동의 정체성 혼란과 상실 = 345
종합과 결론
제1절 생활덕목 및 도덕생활 = 351
제2결 식민지근대론과 발전론 = 358
제3절 황민화교육과 국체 = 362
제4절 실업교육과 근로제일주의 = 364
제5절 천황숭배주의와 지배교육 = 367
제6철 식민지아동의 식민성과 국민성 = 369
제7절 총 결론 = 372
·참고문헌 = 381
·초출일람 = 394
·한국근대 교육정책 및 관련 연대표 = 396
·찾아보기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