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ⅴ
제1장 總論 / 이헌창 = 1
1. 이 책의 연구 과제 = 3
2. 재정 = 4
(1) 세입의 규모와 구성 = 4
(2) 지출의 구성 = 8
(3) 재정운영방식 = 9
3. 재정과 시장의 관련 = 11
(1) 재정의 화폐화 = 11
(2) 進俳제도와 公商 = 12
(3) 국가지불가격 = 15
(4) 서울 시장의 이해 = 17
(5) 19세기 국가ㆍ시장 관계의 변화 = 18
4. 조선왕조의 경제체제론 = 19
(1) 경제통합형태를 통해 본 경제체제 = 19
(2) 役制를 통해 본 경제체제 = 23
(3) 경제체제의 변화 = 24
5. 조선왕조 재정과 경제체제의 비교사적 특질 = 27
6. 조선왕조 경제체제의 이론적 설명 = 31
7. 이 책의 남은 과제 = 36
제I부 재정
제2장 조선후기 중앙재정의 운영:『六典條例』의 분석을 중심으로 / 김재호 = 41
1. 머리말 = 43
2. 자료 = 45
3. 중앙재정의 규모 = 49
4. 중앙관서 간의 이출입 = 55
5. 공물재정 = 60
6. 재정수지 = 67
7. 맺음말 = 72
제3장 선혜청의 수입ㆍ지출 구조와 재정운영 / 박기주 = 75
1. 머리말 = 77
2. 선혜청 수지의 수량적 분석 = 80
(1) 수입 = 82
(2) 지출 = 87
(3) 수지 = 89
3. 재정운영상의 특징 = 91
(1) 과도한 형식주의 = 91
(2) 고정성 = 95
4. 맺음말 = 102
제4장 조선후기 왕실재정의 구조와 규모: 1860년대 1司4宮의 재정수입을 중심으로 / 조영준 = 105
1. 머리말 = 107
2. 조선후기 왕실재정의 구조 = 109
3. 1사4궁의 재정수입 = 117
(1) 1사4궁의 수입원 = 117
(2) 1사4궁의 재정수입 구성 = 123
4. 왕실재정의 규모 = 128
(1) 1사4궁의 재정수입으로 본 궁방재정의 규모 = 128
(2) 왕실재정의 규모 추계 = 131
5. 맺음말 = 133
제5장『賦役實摠』에 나타난 조선후기 지방재정의 규모와 특질 / 이우연 = 135
1. 머리말 = 137
2. 지방재정의 記載形式 = 139
3. 지방재정의 규모 = 142
4. 지방재정의 구조 = 152
5. 지방재정의 物種構成과 賦稅의 지역적 配分 = 161
6. 맺음말 = 169
제6장 17, 18세기 환곡에 대한 제도론적 접근: 재량적 규제체계의 역할을 중심으로 / 박이택 = 175
1. 머리말 = 177
2. 조선후기 환곡의 특질과 동태적 특성 = 179
(1) 조선후기 환곡의 특질 = 179
(2) 환곡의 규모와 분급방식별 句管衙門別 환곡의 수입과 지출 = 182
(3) 환곡의 동태적 특성: 잉여잔고율과 분급률에 대한 통계적 분석 = 187
3. 환곡에 대한 裁量的 규제체계 = 191
(1) 환곡 총량에 대한 규제체계 = 191
(2) 환곡의 건전성 유지: 停退와 蕩減 = 194
(3) 환곡의 지역 간 재배분 = 197
4. 환곡제도의 대안들 = 199
(1) 상평제도와 환곡의 상평적 운영 = 199
(2) 사창제도와 환곡의 사창제적 운용 = 201
5. 맺음말 = 204
제Ⅱ부 재정과 시장의 관련
제7장 조선후기 중앙재정과 銅錢:『賦役實摠』을 중심으로 / 김재호 = 211
1. 머리말 = 213
2. 자료와 분석방법 = 215
3. 중앙재정의 물종 구성 = 218
4. 재정수입의 지역 배분 = 223
5. 동전 상납의 결정요인 = 226
6. 동전 現送과 재분배경제 = 237
7. 맺음말 = 243
제8장 貢人에 대한 경제제도적 이해 / 박기주 = 245
1. 머리말 = 247
2. 貢人과 정부 간의 거래의 성격 = 250
3. 거래 안정조건의 해체 = 257
4. 공인의 상업활동과 공인집단의 성격 = 265
5. 맺음말 = 274
제9장 조선후기 貢價의 체계와 추이 / 이헌창 ; 조영준 = 277
1. 머리말 = 279
2. 元貢價의 체계와 추이 = 280
(1) 원공가의 체계 = 280
(2) 원공가의 추이 = 290
3. 別貿價의 체계와 추이 = 293
(1) 별무가의 체계 = 293
(2) 별무가의 추이 = 295
4. 원공가, 별무가 및 市價의 대비 = 299
(1) 원공가와 별무가 = 299
(2) 공가와 시가 = 300
5. 공가의 결정원리 = 303
6. 맺음말 = 308
제10장 19세기 司饔院 分院의 운영과 그 몰락 / 박희진 = 311
1. 머리말 = 313
2. 조직과 업무 = 315
(1) 관리 = 316
(2) 貢人 = 316
(3) 匠人 = 320
3. 예산체계의 성격 = 323
4. 생산ㆍ유통구조 = 327
(1) 국역체제와 낮은 賃料 그리고 私燔 = 327
(2) 상품의 시장 유통 = 330
5. 재정난과 분원 운영 = 332
6. 맺음말 = 338
제Ⅲ부 서울 시장
제11장 시전상인과 국가재정: 가와이[河合]문고 소장의 綿紬廛 문서를 중심으로 / 須川英德 = 343
1. 머리말 = 345
2. 가와이[河合]문고 소장의 면주전 문서에 대하여 = 346
3. 면주전의 조직과 기능 = 351
(1) 면주전의 조직 = 351
(2) 면주전의 업무 = 356
(3) 면주전의 내부조직과 장부류 = 358
4. 면주전과 국가재정의 관계 = 365
5. 맺음말 = 374
제12장 시전-국가 간 거래와 19세기 후반 조선의 경제위기: 綿紬廛을 중심으로 / Owen Miller = 379
1. 머리말 = 381
2. 상업의 경제적 기반과 시전-국가 간 관계 = 382
3. 1880년대의 위기 = 387
(1) 인플레이션 = 388
(2) 국가의 지불 불능 = 391
4. 위기에 대한 국가의 대응 = 393
5. 맺음말 = 396
제13장 19세기 서울 市場의 역사적 특질 / 이영훈 = 399
1. 머리말 = 401
2. 분석대상 = 402
3. 재화가 말하는 서울 시장 = 407
4. 가격변동의 유형 = 413
(1) 自由型 = 415
(2) 固定型⇒自由型 = 418
(3) 自由型⇔固定型 = 421
(4) 固定型 = 422
(5) 개항기의 동향 = 426
5. 서울 시장과 농촌 시장 = 428
6. 맺음말 = 434
제14장 조선왕조의 經濟統合體制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 이헌창 = 439
1. 머리말 = 441
2. 18세기 후반 경제통합체제 = 442
(1) 생산의 기본 지표 = 443
(2) 세입을 통해 본 재정 규모 = 445
(3) 조세부담률 = 447
(4) 재정지출 = 453
(5) 재정 규모와 시장거래 규모의 비교 = 454
(6) 국개재분배의 질적 규정력 = 457
3. 조선시대 경제통합체제의 변화 = 461
(1) 조선국가체제 성립기 국가재분배체제의 공고화와 시장 억압 = 461
(2) 16ㆍ17세기 시장의 성장과 국가재분배체제의 재정비 = 463
(3) 영조대 국가재분배의 강화책 = 465
(4) 19세기 국가재분배체제의 위기와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 = 469
4. 맺음말 = 472
참고문헌 = 473
찾아보기 = 487
Abstracts =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