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개작의 미적 행로와 자기검열의 글쓰기 = 15
−최서해 소설의 정치성
<노마만리>와 자전적 글쓰기= 52
−서발턴 탐색에서 제국주의와의 길항으로
개작의 심미화와 작가주의 신화
−황순원과 <카인의 후예> 다시 읽기 = 78

2부
연애와 계몽 = 117
−이광수의 <무정>
‘작가’라는 신神 = 133
−김동인의 소설세계
어두운 시대와 문학의 응전 = 148
−최서해와 조명희의 소설세계
풍자와 비판적 리얼리즘의 한 극점 = 173
−채만식의 소설세계
식민지의 그늘과 상처를 넘어서 = 188
−김사량의 생애와 문학
전쟁체험과 시대의 문학적 증언 = 201
−오상원의 소설세계
60년대 청년의 사랑과 결혼 = 215
−안수길의 장편 <내일은 풍우>와 <구름의 다리들>

3부
‘한의 문학화’와 한국전쟁 = 237
−21세기에 다시 읽는 <태백산맥>
전쟁을 이야기한다는 것 = 251
−6.25전쟁에 대한 문학적 단상
역사의 밤을 비추는 이야기의 등불 = 273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
‘재일’의 동아시아적 시좌와 제주4.3의 대작화 = 294
−한글 완역본 <화산도> 읽기

4부
비천함의 고백과 세상살이의 길찾기 = 315
−김소진의 소설세계
역사의 그림자 = 333
−김원일의 <전갈>
상처와 절망에게 내미는 손길 = 340
−공선옥의 <명랑한 밤길>
기억의 풍경 = 347
−정지아의 <봄빛>
맹목의 현실과 가능성의 통찰 = 355
−손홍규의 <봉섭이 가라사대>
작가 김주영_대담 = 363

찾아보기 =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