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장
1. 한국 고문서 연구의 발자취 = 13
2. 한국 고문서 연구의 과제와 이 책의 목적 = 24
3. 고려ㆍ조선 시대 임명 관련 문서의 개관과 문제점 = 28
4. 이 책의 구성 = 43
제1장『이재난고』신축일력에 수록된 부마고려국왕기로부터 조선 초기까지의 고문서 - 관교와 조사문서의 새로운 사례
1. 머리말 = 47
2. 고문서의 수록 경위와 관련 인물 = 51
3.『이재난고』신축일력에 수록된 고문서 분석 = 55
4. 맺음말 = 78
제2장 부마고려국왕기로부터 조선 초기까지의 임명문서 체계 재검토
1. 머리말 = 81
2. 선행 연구 검토 = 82
3. 부마고려국왕기의 관교를 둘러싼 여러 문제들 = 94
4. 맺음말 = 107
보론 = 109
제3장 조선 초기 관교 체식의 변천 - 두사와 인장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115
2. 조선시대의 관교 = 116
3. 두사의 변천 = 127
4. 인장의 변천 = 130
5. 맺음말 = 159
보론 = 162
제4장 부마고려국왕기 이후 고려의 원 임명차부 수용 -〈김천부 차부〉검토
1. 머리말 = 167
2.〈김천부 문서〉의 내용 검토 = 172
3. 원의 임명차부와 부마고려국왕기 이후 고려에서의 수용 = 188
4. 조선 초기 임명차부의 사용 상황 = 193
5. 맺음말 = 201
제5장 조선 초기 문무관 처 봉작 규정과 봉작문서 체식의 변천
1. 머리말 = 205
2.『경국대전』문무관 처 봉작 규정과 봉작문서의 체식 = 207
3. 고려 말기 문무관 처 봉작 규정과 봉작문서 = 210
4. 조선 초기 문무관 처 봉작 규정의 변천 = 216
5. 문무관 처 봉작문서의 체식 변천 = 229
6. 맺음말 = 243
종장 = 245
참고문헌 = 260
저자 후기 = 267
역자 후기 = 272
찾아보기 =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