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국학총서(國學叢書)>를 펴내며 = 11
권두에 씀 = 13
일러두기 = 18

1장. 기자조선에 대한 고찰
- 기자조선의 존재에 대하여 = 27
1. 조선은 ‘기’의 나라 = 28
2. 언어민속을 통해 본 ‘기’ = 30
3. 관직, 인물, 지명 등에 나타난 ‘기’ = 32
1) 고문헌상의 ‘기’와 관련된 어휘 = 32
2) 기산(箕山), 질산(質山), 후산(侯山) 등이 통용된 예 = 33
3) ‘기’는 대인 또는 수장이라는 뜻 = 35
4) 대인국(大人國)과 대인지시(大人之市)의 실상 = 36
5) 차차웅(次次雄)과 자충(慈充)의 뜻 = 39
6) 신라 문헌에 등장하는 ‘지(智)’와 공(公)의 의미 = 41
7) 고구려, 백제의 관직명에 등장하는 수많은 ‘기’와 ‘치’ = 44
4. ‘기’를 중심으로 본 사회발전사 요약 = 49
- ‘기’로 표시되는 단계 과정 = 49
5. 귀족, 재상으로서의 ‘기’ = 52
1) 신라, 가야, 마한, 백제와 관련된 여러 문헌 = 52
2) 마한의 신지(臣智) = 58
6. 대공국(大公國)의 병립시대 = 61
1) 구태(仇台), 근지(近支), 한기(韓岐), 신지(臣智)의 열국시대 = 61
2) 크치조선(朝鮮)과 기자조선 = 62
3) 큰지국(國)과 군자국(君子國) = 64
4) 한기국(國)과 한후(韓侯), 한성(漢城) = 67
5) 신지국(臣智國)과 진한(辰韓), 진국(辰國) = 69
7. 고대 문헌상의 군공(群公), 제후 = 71
- 고구려와 신라의 군공과 제후 = 71
8. 대공조선(大公朝鮮)의 진상 = 75
1) 크치조선의 문화 정비 - 기자조선과 뒤섞인 과정 = 75
2) 크치의 활동과 지위의 상승 = 78
- 부여, 고구려, 백제, 마한, 신라, 가야 등의 실례 = 78
3) 한(韓)씨의 종족상의 의미 = 82
9. 크치조선의 국가 상황 = 84
- 주나라 말에서 한나라 초까지의 대공(大公)조선 = 84
10. 부기(附記) - 대체로 같은 법속(法俗) = 88

2장. 아사달과 백악, 평양, 부여에 대하여
- 원생지(原生地)를 중심으로 발전된 고대 사회 = 91
1. 백악, 평양, 부여와 아사달의 상호 관계 = 92
1) 아사달의 뜻과 백악과의 관계 = 94
2) 아사달의 다른 이름 평양성 = 98
2. 복지(腹地)와 잉양(孕壤)으로서의 백악과 = 100
아사달의 관계 = 100
1) ‘?아(백악)’와 관련된 문헌 자료와 원래 의미 = 100
2) 아사달과 관련된 여러 문헌과 참모습 = 110
3. 하늘과 땅, 인간과 신이 합일된 고대 문화 = 115
1) 태양, 태악(太岳), 두뇌 및 자생신(?生神) = 115
2) ‘?’, ‘?’, ‘?’와 원생지 = 118
4. 종족이 탄생하고 모여서 국가를 이룬 인류 문화 = 122
1) 부여는 종족이란 뜻 = 122
2) 모계시대 이후의 사회 단계 = 123
5. 인류 문화사에 나타나는 하나의 전형 = 126
1) 두산(頭山)과 복지(腹地)는 연관적 존재 = 126
2) 아시리아(Assyria)와의 비교 = 127
6. 결론 = 129
7. 부기(附記) - 단(檀)과 단(壇), 두 글자의 구분 = 131

3장. 고구려 건국 상황에 대한 고찰 = 135
1. 오부(五部) 조직의 문화적 의미 = 135
2. 곤연, 웅심산, 우발수 등의 의미와 위치 =137
3. 새로운 신황(神皇)인 동명제(東明帝) = 141
- 그 밖의 인명과 지명의 뜻과 배경 = 141
4. 오부(五部)의 의미와 고구려 국명의 기원 = 149
5. 건국 과정 및 국가 발전 상황 = 152
1) ‘?어’로 일관된 네 개의 도읍과 3경 = 153
2) 부여 문화의 집성자 = 154
3) 단군이란 명칭의 계승자 = 156
4) 부여국과 단군 호칭의 존속 = 157
5) 구려국(句麗國)의 유래 및 고구려의 발흥 = 157
6) 부족연합의 편린과 그 여파 = 159
7) 제가(諸加)회의를 통하여 결정하는 법속 = 161
8) 농목사회의 문화 요소 = 164

4장. 고구려 관직에 대한 고찰 =167
1. 고구려사와 그 관직에 대한 고찰 =168
2. 여러 문헌에 나타난 관직 =168
1) 부여공(夫餘公)인 패자(沛者: ?치)는 국사를 총괄하는 높은 관직 = 169
2) 최고의 대공(大公)인 고추가 = 174
3) 태대경(太大卿)과 대경(大卿)은 ‘신크치’와 ‘크치’ = 176
4) 상경(上卿), 상서(尙書)로서의 우치 = 177
5) 진무(鎭撫)도독인 살치(어사대부) = 179
6) 교화를 담당한 조의두대형(?衣頭大兄) = 183
3. 오관(五官)의 주요 업무 = 185
4. 오관과 정부 구성 = 187
5. 오관 이하의 여러 관직 = 188
6. 결론 - 기, 지, 치로 표현된 십이관등(十二官等) = 190

5장. 신라 건국 상황에 대한 고찰
- 육훼평에 대한 논의를 겸하여 =192
1. 신라의 기원과 의미 = 193
1) 《삼국지》 편자가 전하는 내용 = 197
2. 신라의 건국 상황 = 198
1) 혁거세왕과 고대 사회의 신정(神政) = 199
2) 해척아기와 성모시대 = 201
3) 촌락정치에서 도시연합국가로 = 204
4) 혁거세와 천지인(天地人) 삼황(三皇) = 207
5) 소벌공과 서술신모 = 211
6) 계림과 그 의미 = 216
7) 육부연합의 형태 = 218
8) 육부연합과 종교적 요소 = 221
3. 결론 - 진방(震方) 역사의 전체적인 체계 = 223

6장. 신라 관직에 대한 고찰
- 관직을 통해 본 사회사의 한 측면 = 228
1. 신라의 전반적인 국가 상황 = 228
- ‘?의뉘’로부터 ‘닛검’의 출현까지 _ 228
2. 독자적 특징을 보인 신라의 관직명과 관직 = 232
1) 이벌찬과 승부대경(乘府大卿) = 232
2) 이척간과 승정장관(承政長官) = 234
3) 호위무사의 우두머리인 잡찬(?飡) = 241
4) 농경을 관리한 파진찬 = 242
5) 이부(吏部)의 우두머리인 대아찬 = 244
6) 예부(禮部)의 우두머리 일길찬 = 245
7) 대사자(大使者)의 역할을 한 살찬 = 247
8) 제후를 통치하는 급벌찬 = 248
9) 지(智) 또는 지(支)로 표현된 하급 관리 명칭 = 249
3. 결론 = 250

7장. 삼한국(三韓國)과 그 법속에 대한 고찰 = 252
1. 한(韓)과 그에 대한 총체적인 설명 = 253
2. 삼한 습속의 전체적인 모습 = 255
3. 세 명의 간(干)이 공동으로 통치하는 법속 = 262
4. 마한, 진한, 변한의 명칭의 의미와 기원 = 267
1) 삼한(三韓)과 오가(五加)의 의미 = 267
2) 종주국인 마한 = 274
3) 진한의 의미 = 278
4) 가라열국은 변한 = 281
5) 변한과 불례(不例), 구야(拘邪) = 284
5. 삼한의 상호 관계 = 287
6. 삼한 관련 기록의 새로운 해석 = 295
7. 마한 진왕을 우대하여 부르는 법속 = 300
8. 삼한국과 사회 형태 = 304
9. 삼한을 통해 본 진역(震域)의 고대 제도 = 307
10. 부기 - 아시리아와 비교 = 312

8장. 육가라국(六加羅國)에 대한 고찰 = 316
1. 가라의 어원 = 316
2. 가라의 건국과 전후 상황 - 금관국의 참모습 = 320
3. 여섯 가라의 위치와 지리적 특징 = 322
1) 큰지한이 다스리는 나라 = 322
2) 아시량(阿尸良)과 아라가라(阿羅加羅) = 323
3) 대가야의 발흥 = 325
4) 성산(星山)가야 = 325
5) 곡지(谷地)가라 = 326
6) 고성반도의 소가라(小加羅) = 327
4. 가라연맹의 흥망에 대한 개관 = 328
5. 대가라의 국가 상황 개관 = 329
1) 읍차국(邑借國)의 발전 순서 = 329
2) 정견모주와 법우화상 = 330
3) 국제혼 기록 = 331
6. 가라인의 해외 이동 = 332
7. 가야금과 악사 우륵 = 334
8. 결론 - 남쪽으로 이동과 그 흥망의 자취 = 336

9장. 부여조선에 대한 고찰
- 부여조선의 역사적 규명 = 338
1. 부여의 역사적 위치 = 339
2. 부여국과 고숙신성(古肅愼城) = 342
1) 부여국과 종족 분파 = 346
2) 숙신과 조선이란 단어의 의미 검토 = 349
3. 부여조선과 관련 문헌 = 351
4. 단군조선과 관련 문헌 = 356
1) 단군은 천왕이다 = 356
2) 단군은 신왕(神王)이며 명왕(明王) = 360
5. 단군조선의 사회사적 의미 _ 363
6. 큰 임금으로서의 왕검과 관련 문헌 _ 368
7. 부여국의 사회 형태 - 관직 제도를 중심으로 _ 376
8. 위구태, 해부루와 단군이라는 호칭 _ 388
9. 기자가 단군을 대신하였다는 설에 대한 논증 _ 396
10. 결론 - 단군의 다양한 모습 _ 400

10장. ?, ?, ?어 원칙과 순환 공식 _ 408
1. ‘뷔’의 철학적 이치와 태백(太白)의 진정한 도(道) _ 409
2. 일리만상(一理萬相)의 원칙 _ 412
1) 신앙과 관련된 어휘상의 공식 _ 412
2) 국명, 종족명에 나타난 공식 _ 414
3) 산악, 하천 어휘에 나타나는 공식 _ 419
4) 관직명에 나타난 원칙 _ 423
5) 옛 지명에 나타난 원칙 _ 424
6) 기타 문헌에 나타난 원칙 _ 432

11장. 고구려와 평양에 대한 고찰 _ 436
1. 고구려와 평양의 관련성 _ 438
2. 졸본부여는 첫 번째 평양 _ 440
3. 비류부와 위나평양(尉那平壤) _445
1) 비류부는 중앙부이다 _446
2) 강가의 수도인 위나평양(尉那平壤) _449
4. 위나평양에 대한 여러 가지 설 _454
5. 위나평양과 환도성 _459
1) 환도의 의미와 천도 이유 _461
2) 진수(陳壽)의 <위지>의 허구성 _463
6. 위나평양과 관련 문헌 자료 _468
7. 평양과 동황성(東黃城), 황성(皇城) _475
8. 환도, 평양, 황성(皇城)으로 이름이 변한 이유 _483
9. 고국원왕과 하평양(下平壤) _489
10. 장수왕의 서경평양 _500
11. 결론 - 고구려 천도 약사 _508
12. 부기 _513

12장. 백제사에 대한 총체적 고찰 _515
1. 서론 _515
2. 백제의 의미와 건국 _516
1) 백제도 부여국 _517
2) 백제는 백악군(白岳君) _519
3) 백잔국(百殘國)과 과잔국(科殘國) _520
4) 백제평양(百濟平壤)과 변한 _523
5) 부아악과 백제산 _526
6) 온조명왕(溫祚明王)과 위례성 _529
7) 위례성과 어라하(於羅瑕) _532
3. 백제 왕실의 혈통 _535
1) 백제왕실은 동명왕의 후손 _535
2) 소서노 왕후와 연타발왕 _538
4. 역대 수도 및 오방성 _542
1) 위례성과 고사부리 _547
2) 웅진 사비와 오방성(五方城) _552
5. 주류성과 우금암산성(禹金巖山城) _ 568
1) 주류성과 변산성(邊山城) _ 568
2) 우금암(禹金巖)과 우금바위 _ 570
6. 백강, 웅진강, 기벌포 _ 572
1) 탄현과 백제와 신라의 중요한 길 _ 575
2) 백강과 기벌포 _ 578
3) 웅진 입구와 백강 입구 _ 582
7. 거발성과 계화현(界火縣) _ 590
8. 백강구 전쟁에 대한 평가 _ 593
9. 담로(?魯)와 담모라담모(聃牟羅聃牟) _ 598
10. 제도와 법속 _ 601
11. 요서와 진평(晋平)에 백제가 있었다는 근거 _ 605

13장. 조선의 고대 지리문화에 대한 고찰 _ 614
1. 지명 기원의 문화적 가치 _ 615
2. 성(城), 현(峴), 산(山), 암(巖)이 호용된 예 _ 619
3. 산(山), 수(水), 월(月), 평(平) 등이 호용된 예 _ 624
4. 양(楊), 안(安), 벽(碧), 백(白), 풍(豊), 술(述) 등이 _ 630
호용된 예 _ 630
5. 장(長), 상(上), 왕(王), 대(大), 고(高)가 호용된 예 _ 642
6. 부루(夫婁), 불(不), 비류(沸流), 비(比), 비(非) 등이 _ 647
호용된 예 _ 647
7. 아사달(阿斯達) 이래의 지명문화 _ 658
8. 지명이 변한 이유 _ 665

역자 후기 _ 678
《조선상고사감》에 자주 인용된 문헌들 _ 688
민세연보 _ 689
찾아보기 _ 691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