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보이는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권력과 시대를 읽어내기 = 4
1. 고려의 마지막 몸부림
사라졌다 찾은 연복사탑 중창비 = 17
공양왕과 정몽주, 반전을 꾀하다 = 21
태조유훈, 고려의 미란다와 크레덴다 = 27
훈요십조 = 33
한양 순주와 연복사 중수 = 38
구언교서, 무너지는 선왕성헌 = 47
왕건의 재해석 = 59
2. 새 왕조 새 수도 정하기의 여정
한양은 정말 무학대사가 고른 땅일까 = 71
설화에 담긴 시대성 = 75
왕건이 되고 싶었던 이성계의 꿈 = 81
유교 군주 이성계의 독실한 불교 신앙 = 89
계룡산에라도 천도하겠다 = 99
천도지 답사, 마침내 한양으로 = 106
전통의 영향과 퇴조, 그리고 수도의 조건 = 114
3. 정도전이 경복궁에 담은 뜻
한양의 밑그림 : 종묘와 사직, 궁궐, 시장과 도로 = 123
경복궁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 132
임금의 큰 복은 무엇인가 : 경복 = 140
침전은 편안한 공간인가 :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 145
투명한 정치에 대한 갈망 : 사정전 = 153
'부지런함'의 근거 : 훈요십조와 근정전의 차이 = 159
임금의 부지런함은 어떠해야 하는가 = 168
政과 正, 德과 得 : 정문 = 172
4. 굴절, 그러나 연속
왕자의 난, 개경으로의 복귀 = 179
다시 한양으로 갈 수 있을까 = 187
500년 수도, 개경의 관성 = 193
공간의 전환, 그리고 구질서의 해체 = 200
아버지의 죽음과 태종의 새로운 공사 = 205
태종에 의해 재탄생한 한양 = 211
버릴 수 없는 법궁 = 215
새로운 위상을 더하다 : 경회루 = 222
5. 궁궐의 안팎에 위치한 관서
관서의 위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235
없던 건물은 왜 만들었나 : 도평의사사 = 239
문무는 양팔과도 같다 : 도평의사사와 의흥삼군부, 융문루와 융무루 = 246
문무의 겸비는 왜 중시되었나 = 251
학문은 늘 임금의 곁에 : 집현전 = 256
지식은 널리 보급되어야 한다 : 주자소 = 264
공과 사의 경계, 편전에 사관이 들어가기까지 = 273
권력을 어떻게 승계할 것인가 : 동궁 = 281
에필로그 : 기획과 현실 사이에서 = 288
참고문헌 = 296
감사의 말 = 299
찾아보기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