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5
총론|수령의 공적 권위와 사생활 / 김혁 = 13
왜 수령의 사생활인가? = 13
수령의 지위: 주인 vs. 나그네 = 16
수령의 캐릭터: 자부(慈父) vs. 엄부(嚴父) = 20
통치의 기술: 채찍 vs. 선물 = 23
수령의 윤리: 공(公) vs. 사(私) = 26
제1부 공무의 일상
제1장 부임의례와 수령(守令)의 캐릭터 형성 / 김혁 = 32
서울 가는 길 = 34
고향을 떠나며 = 34
신영례(新迎禮: 고을 아전의 마중 의례) = 36
서울을 향해 = 41
국왕과의 만남 = 47
서울 입성(入城) = 47
사은숙배(謝恩肅拜) = 49
서경(署經) = 51
서울에서 만난 사람들 = 52
사조(辭朝) = 55
하직숙배(下直肅拜) = 61
''고을의 주인''으로 = 64
고을의 주인으로 오름[상관(上官)] = 64
위엄, 고을살이의 성패 = 69
부임의례, 예치(禮治)의 시작 = 75
제2장 수령의 출퇴근과 근무방식 / 이선희 = 78
수령의 출퇴근과 근무절차 = 80
수령의 출퇴근과 좌기(坐起) = 80
수령의 좌기절차 = 88
동헌ㆍ객사에서 수행한 일상업무 = 91
공식 업무처 동헌 = 91
접빈(接賓)ㆍ의례처(儀禮處) 객사(客舍) = 96
기타 업무처에서 수행한 일상업무 = 100
환곡 업무처 창고 = 100
현장 업무처 빙고(氷庫)ㆍ관아 건축 현장 = 104
행정실무관료, 수령 = 106
제3장 기록화에 담긴 지방관의 기억 / 윤진영 = 109
지방관과 그림 = 111
지방관 관련 기록화(記錄畵)의 유형과 내용 = 115
계회도 = 115
도임(到任)ㆍ향연도 = 124
행사기록화 = 132
평생도 = 138
초상화 = 141
영남지역 지방관의 기록화(記錄畵) = 144
계회도류 = 144
현감(縣監) 정선(鄭敾)이 그린 그림들 = 155
지방관 관련 기록화의 의의 = 160
제2부 통치의 기술
제4장 수령의 선물정치와 부채[扇] / 김혁 = 164
증여의 한 장면 읽기 = 166
부채의 사회적 도상성 = 173
부채와 선물로서의 조건 = 173
국왕의 정치적 도구, 부채 = 176
부채 증여의 메커니즘 = 180
부채 증여의 연쇄망 = 180
부채 증여의 사회적 의미 = 183
''자부상(慈父像)''의 갈구 = 185
수령의 음식 잔치 = 185
농민을 위한 선물 = 192
자애로운 수령, 그 현실적 초상 = 198
제5장 시험의 힘, 교육을 통한 통치 / 채휘균 = 201
지방관이 주관하던 시험 = 203
지방관이 주관했던 시험의 종류 = 203
감사 이헌영이 주관했던 시험 = 205
군수 오횡묵이 주관했던 시험 = 208
지방관이 주관했던 시험의 문제유형 = 209
시험 진행의 중심에 있는 지방관 = 210
경상감사 이헌영의 경우 = 210
함안군수 오횡묵의 경우 = 214
시험장으로 몰려오는 사람들 = 219
감영에서 실시한 시험의 응시자 = 219
군에서 실시한 시험의 응시자 = 221
시험이 지방관에게 주는 힘 = 222
시험의 기능과 갈등 = 222
시험을 통한 수령의 영향력 행사 = 225
그들은 왜 시험을 치게 하는가? = 229
제6장 수령의 기우제(祈雨祭)와 고을민과의 소통(疏通) / 오용원 = 233
지방관과 기우제의(祈雨祭儀) = 235
영남 지방관의 기우제의 설행 = 235
제의 설행의 일상, 그 안과 밖 = 237
제의 설행을 위한 준비와 절차 = 238
새로운 기우제의의 탄력적인 설행 = 242
기우제의의 외적 일상과 수령의 배려 = 247
지방관의 기우제의와 그 주변 = 247
기우제를 통한 수령의 배려 = 250
기우제문(祈雨祭文)의 상징성과 한발(旱魃) 인식 = 253
기우(祈雨)를 위한 수령의 바람 = 253
한발에 대한 수령의 인식 = 257
수령의 기우제의 설행을 마무리하면서 = 260
제3부 공과 사의 경계에서
제7장 수령의 봉름(俸廩)에 나타난 공과 사 / 박희진 = 264
봉름의 구성 = 267
봉름이란 = 267
봉름의 구성 = 268
봉름의 규모와 지출내역 = 271
봉름 규모와 문집 간행 = 271
수령의 봉급 - 아록전과 공수전 = 272
수령의 생활비 및 판공비 - 관수미, 치계시탄가, 사객지공미 = 276
봉름지출 원칙 = 278
봉름의 지출항목 = 278
봉름 사용의 원칙 = 281
봉름의 현실적 변용 = 287
가족부양과 축재를 위한 봉름 = 287
사회적 환경과 봉름지출의 변화 = 291
성리학적 이상과 지대추구행위 = 293
제8장 관아의 주방과 수령의 음식 / 손계영 = 294
관아 음식에 적응하는 수령의 모습 = 295
관아 주방의 규모와 주리(廚吏)의 역할 = 301
관아의 주방이었던 ''관청(官廳)'' = 302
주속(廚屬)의 구성과 역할 = 308
관주(官廚)의 물품 관리와 기록 = 312
관아 주방의 공적 기능 = 319
관아의 주방, 시혜(施惠)의 다스림을 빚어내다 = 326
제9장 지방관과 기녀(妓女)의 관계 / 이성임 = 328
관기(官妓)의 역할 = 330
지방관아의 여악(女樂) 업무 = 330
지방관의 잠자리 시중 = 332
지방관과 기녀의 사랑 = 335
기녀가 살아가는 모습 = 338
최하층 국역(國役) 담당자 = 338
관기가 역(役)을 지는 모습 = 344
제10장 지방관의 문집 간행과 공사 인식 / 손계영 = 353
문집 간행의 정당성 = 355
관아의 물력(物力) 지원 = 359
문집의 간행비용은? = 360
각수(刻手)의 지원 = 362
판목과 종이의 지원 = 365
간행에 대한 지방관의 인식 = 368
고을 흉년으로 인한 간행의 축소 = 368
체직(遞職)과 동시에 중단되는 문집 간행 = 371
봉급을 보태는 수령 = 375
후손들의 책판 이동 = 378
선조문집 간행에 관(官)의 힘을 빌리다 = 380
제4부 사생활의 주변
제11장 수령의 고을살이와 가족들 / 채휘균 = 384
수령의 아내 = 387
임지에서 생긴 아내의 질병 = 387
아내의 생일 챙기기 = 388
수령의 아들들 = 392
임지 인근에 근무한 첫째 아들 = 393
수문장(守門將)이 된 둘째 아들 = 400
아버지 임지에 공부하러 온 셋째 아들 = 403
수령의 딸과 며느리 = 407
수령의 손자와 손녀들 = 408
숨겨진 가족들 = 410
월희(月姬)와의 만남 = 410
월희 모녀(母女) = 412
외로움 속에서 가족을 살피다 = 415
제12장 수령의 내밀한 측근들 / 이장희 = 418
누가, 왜 수령의 사적 측근이 되는가? = 420
수령을 보좌한 사적 측근들 = 421
어떤 관계를 지닌 사람인가? = 427
어떤 목적으로 측근이 되는가? = 430
측근들의 생활은 어떻게 유지되는가? = 434
수령의 사적 측근들은 어떤 일을 하는가? = 437
공적인 일의 보조 = 438
사적인 일의 보조 = 442
세상사, 옛날이나 오늘이나 다르지 않으니 = 446
제13장 수령의 개성과 글쓰기 / 최은주 = 448
수령의 글쓰기는 언제 이루어졌는가? = 450
과중한 수령업무 = 450
시간과의 싸움 = 455
수령의 다양한 글쓰기 방식 = 462
사생활의 기록과 내밀한 감정의 노출 = 463
정치 색깔과 의식적 글쓰기 = 468
문예추구와 수령 지위의 벽 = 473
수령의 신분과 개성의 경계에서 = 477
주(註) = 480
참고문헌 = 543
찾아보기 = 556
초록 = 569
ABSTRACT = 573